위로가기 버튼

자원봉사라고요?

김살로메(소설가)
등록일 2013-03-18 00:18 게재일 2013-03-18 23면
스크랩버튼
가끔 흥분지수가 높아질 때가 있다. 가령 뮤지컬 `레미제라블`공연사의 자원봉사자 모집 공고 같은 것을 접했을 경우가 그렇다. 6개월간의 제작 현장 서포터를 구하는데 이력서는 기본에다 운전 가능자 우대란다. 주말 근무까지 하는데 처우는 교통비 지급, 식사 제공, 활동증명서 발급이 전부란다. 자원봉사자란 그럴듯한 계급 포장을 씌워 무급 노역자를 구하겠다는 심보다.

뮤지컬 레미제라블은 상업적 공연 예술이다. 영리 추구가 목표인 기획품이지, 문화생활에 소외된 자들을 위한 무료 공연 작품이 아니란 말이다. 상업적 활동에 자원봉사자를 구한다는 것 자체도 말이 되지 않지만, 스펙 쌓기나 꿈 이루기에 목말라하는 젊은이들의 심리를 업체의 이기심에 활용하려 했다는 점에 화가 난다. `활동 증명서` 한 장과 신성한 노동을 맞바꾸기엔 너무 기운 계산법이질 않나.

뮤지컬 레미제라블의 엔딩곡이자 주제곡은 `사람들 노래소리가 들려요?`(Do you hear the people sing)이다. 가난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팔아서 돈을 벌기는 쉬워도 가난한 민중의 노랫가락을 들어주기는 어려운 이 아이러니! 하기야 노동을 착취당하고도 일정 부분 제 허영심을 충족시켜주는 부분이 있기에 사람들은 그 함정에 자발적 형식으로 빠져든다. 폭력적이고 기만적인 사회는 인간의 그런 약점을 교묘하게 이용하려 든다.

언젠가부터 우리 사회는 `자원봉사`나 `재능기부`라는 허울 좋은 이름으로 절박한 사람들의 마음을 앗아가기 시작했다. 세상은 만만한 사람들에게 더 인색하고, 가진 쪽일수록 타인의 노동 가치를 대수롭지 않게 생각한다. 인간에 대한 기본 예의나, 약자에 대한 연민이 없는 사회가 무슨 소용이 있을까. 기부나 봉사란 자발적이라야 의미가 있고, 가진 자가 소외된 자들을 향하는 것일 때 더욱 가치가 있다. 못 가지거나 덜 가진 자가, 다 가지거나 많이 가진 자에게 노력 봉사하는 건 노예 생활이지 자원봉사가 아니다. 일상생활에 허덕이는 자들이 봉사나 기부에 동요되는 사회는 건강하다고는 할 수 없다.

/김살로메(소설가)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