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 이 책이 재미있었느냐고 묻는다면 아니,라고 답하겠고, 누군가 이 책이 좋은 책이냐고 묻는다면 글쎄, 라고 얼버무릴 것이다. 하지만 누군가 이 책에 밑줄을 긋고 싶었냐고 묻는다면 그렇다, 라고 말할 것이고, 누군가 이 책을 소장하고 싶으냐고 묻는다면 물론, 이라며 망설이지 않고 답하겠다. 불친절하고, 에두르고, 솟구치고, 앞서가는 문장들의 너울에 독자는 속수무책으로 길을 잃고 헤맬 수밖에 없다. 허공만큼 넓은 길에서 막다른 골목을 만나는 느낌이랄까.
2차 세계대전 당시 소련군 수용소에 붙들려간 열일곱 살 독일 소년의 시선으로 써내려간 취재기적 소설은 서늘한 산문시로 읽힌다. 사실적 경험담이 시적, 몽환적 기법의 옷을 빌려 입었기에 그 아우라가 제대로 발현되는지도 모르겠다. 아픔을 아프다고, 배고픔을 배고프다고 호소하는 건 진부하다. 아픔이 `숨그네`가 되고 허기가 `배고픈 천사`가 되는 메타포를 거치고서야 낯선 언어들이 펼치는 정직한 실존은 되살아난다.
수용소 생활의 조각보 같은 일상이 구체적 이미지로 승화되었음에도 부분적으로 난해하게 읽히는 게 이 책의 약점이다. 그럼에도 그 책임을 작가에게만 지울 수도 없다. 극한의 생존 조건에서 굶주림과 수치심을 경험한 사람의 심리는 온전한 형태의 문장으로 비유될 수 있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갇히고 길들여진 자의 통점이 확산되면 당연히 그 의식의 심연은 발작을 일으키고, 그 때의 글은 불친절한 수사나 애매한 덫에서 자유로울 수 없게 된다. 그 수사나 덫이 낳은 언어유희가 쉼없이 독자들을 끌었다 놓았다 하는 데, 묘한 그 이끌림 덕에 `헤르타 뮐러` 또는 `숨그네`는 오래 독서계에 남는 대명사가 될 것이다.
/김살로메(소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