걱정과 우려와 공포가 뒤섞인 호기심 서린 사람들은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아파트 옥상으로 올라갔다. 삼십 오층 높이에서의 산불 현장은 한 눈에 잡혔다. 불꽃은 도심 가까운 산허리를 휘감았고, 오가지 못하는 차들은 비상 깜박이로 대로가 주차장화 되었음을 알리고 있었다. 대형 물바구니를 달거나, 물탱크를 장착한 헬리콥터들은 쉼 없이 강과 현장을 오갔다. 남쪽의 또 다른 산불 현장의 헬리콥터들은 강까지 오지 않고, 근처 저수지 물을 퍼 나르고 있었다. 하늘 길에서 혼선을 빚지 않기 위한 질서 같았다.
헬리콥터는 강에 맞닿을 정도로 가까이 접근해야만 물을 담을 수 있었는데, 강 표면에 이는 프로펠러 바람 동심원처럼 명치끝에 아찔한 파문이 일곤 했다. 호기심은 금세 사라지고 통증과 공포와 위기감만 온몸에 달라붙었다. 가파른 산과 주택 현장을 누빌 소방관들과 주민들, 관계자들의 수고와 안타까움이 고스란히 전해져왔다. 집으로 들어오려는데, 현관문 돌리는 아귀힘도, 신발을 쉬 벗을 기운조차 남아있지 않다.
잠깐 봤음에도, 불과의 사투를 지켜보는 일은 맘 무거운 그 무엇이었다. 모든 말들의 무용함으로서만 이 산불 현장을 말할 수 있었다. 하물며 현장의 모든 사람들이 겪는 심정은 어떠할 것인가. 입술을 건너 간 말들은 화근(禍根)이 되고, 손끝에서 날아간 불티 역시 화근(火根)이 된다. 이때의 모든 부주의는 유죄이다. 화근의 원인은 순간이나 그 불길은 걷잡을 수 없으니. 길고 힘겨운 불꽃과의 사투는 말줄임표 말고는 제대로 설명할 길 없다. 아, 새 아침이 왔고, 이 글을 쓰는 지금도 헬리콥터들의 공중 행렬은 계속 중이다.
/김살로메(소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