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칸막이 학구파는 되지 마

김살로메(소설가)
등록일 2013-03-06 00:44 게재일 2013-03-06 19면
스크랩버튼
입학 시즌이다. 신입생인 아들도 자신의 시간표를 메일로 보내왔다. 혹시 있을지도 모를 긴밀한 연락에 참고가 될까 하는 작은 배려이리라. 단출하기 이를 데 없는 시간표는 영어를 빼면 온통 수식과 기호만이 가득한 과목들뿐이다. 저 딱딱하고 재미없는 학문에 청춘의 에너지를 쏟아야 한다고 생각하니 괜히 안쓰러워진다. 하지만 그건 이과적 특성을 갖추지 못한 나의 편견일 뿐, 어쩌면 아들은 인문학 책 읽고 독후 리포트를 작성하는 것보다 실험 및 계산 결과를 도출하는 그 과정에 더 흥미를 느낄지도 모른다.

대학 생활이라는 게 공부가 전부는 아니다. 다양한 경험과 폭넓은 사고도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간접 경험과 폭넓은 교양의 기초가 되는 책을 많이 읽었으면 하는 맘에 아들에게 보내줄 책을 책장에서 고른다. 남편이 읽던 자기계발서에도 눈길이 간다. 아들에게 도움 될 책인가 싶어 훑어보는데, 흔한 말로 `살아 있네` 하는 느낌이 드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망설일 필요 없이 보낼 책의 목록에 끼운다.

아이비리그 기숙사 학생감 생활을 오래한 저자는 그곳에서 만난 학생 둘을 비교한 일화를 소개한다. 활발한 성격인 단짝 여학생들은 시험 기간만 되면 태도가 확연하게 달라진다나. 한 명은 칸막이 도서관에 둥지를 튼 채 일체 기숙사 모임과는 발을 끊는다. 다른 한 명은 시험 기간이 아닐 때와 마찬가지로 스터디를 조직하고, 자료를 공유한다. 모여도 공부 반 잡담 반일만큼 천하태평이다.

누가 성적이 좋고, 나아가 누가 옳은가를 단언할 수는 없다. 하지만 스트레스 지수만큼은 활발한 사교파에 비해 칸막이 학구파가 더 심할 것이다. 공부 자체가 매번 즐거울 리는 없지만, 다크서클 드리운 채 자신의 영혼을 갉아먹으면서까지 공부에 집착하는 건 바라지 않는다. 공부하겠다고 유폐를 자처하는 부류보다는 사회적 소통을 공부만큼이나 중요시 하는 학생들이 육체적 정신적으로 더 건강해 보인다. 보내준 책을 읽는 아들도 이런 마음을 알아챘으면 좋겠다.

/김살로메(소설가)

팔면경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