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 경산시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170억원의 사업비로 서부지구의 노후한 하수관거를 정비해 침수지역 해소와 우·오수합류식 하수관로를 우수와 오수를 분리 배출하는 분류식으로 매설해 수질개선효과를 높일 계획이다.
서부지구는 옥곡동과 사정·옥산·중산·정평·대평·중방·계양동 일원의 택지개발지구를 제외한 지역은 우·오수합류식의 하수관거로 공공 수역의 수질악화와 태풍과 장마 때 저지대 배수불량에 따른 침수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시는 3개년 계획으로 서부지구에 우수관로 3km와 오수관로 18km를 매설해 주택지 주변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유해충 발생을 사전에 차단해 주민에게 편리성과 재산권행사 등 이익을 제공한다. 우·오수합류식 하수관거지역은 건물은 신축할 때 반드시 정화조를 설치해야 했으며 정기적인 정화조 청소와 유지관리비용을 부담해야 했다.
우·오수분류식 하수관거가 매설되면 정화조를 사용하고 있는 주택도 정화조를 폐쇄하고 생활하수를 전용하수관로로 배출해 위생환경이 크게 개선된다.
경산시는 지난 1998년부터 시가지와 읍면 소재지 일원에 현재까지 1천657억원의 사업비로 345㎞의 우·오수 분류관을 설치하고 개발되는 택지개발지구 등은 우·오수분류관 설치를 의무화 하고 있다.
또 농어촌 생활환경 개선을 위해 1993년부터 남천면 하도지구 외 13개소의 읍·면 외곽지 자연부락에 소규모 하수처리시설 설치 등 수질오염방지사업을 시행해 하수도 보급률은 현재 68%다.
/심한식기자 shs1127@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