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자들에 따르면 `어느 분야를 막론하고 통상 시장의 95퍼센트는 모방자이며, 단지 5퍼센트만이 창조자`라고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5퍼센트의 창조자가 되는 위험을 감수하느니 95퍼센트의 모방자로 살아가는 편리를 택한다. 가끔 도저한 지경에 이르렀다고 판단한 창조자에 의해 세상은 뒤집어지기도 하는데, 중요한 건 그 혁명의 성공 뒤에도 여전한 나머지 95퍼센트의 모방자가 대기하고 있다는 사실. 물리적 상황이든 심리적 상황이든 대의를 좇을 확실한 군중이 있다는 것.
인간의 이런 심리적 상태, 즉 다른 사람의 행동을 따라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믿는 경향을 `사회적 증거의 법칙`이라고 한다. 사이비 종교가나 정치꾼은 군중 심리를 잘 이용하는 사람들이다. 그들이 도덕이나 경건을 가장한 흰소리로 옳고 그름이 제각각인 군중들을 선동할 수 있는 것도 이 군중 심리를 백 번 활용하기 때문이다. 특정한 날 예언이 실패해 천국행을 가지 못해도 여전히 신도 수는 줄어들지 않고, 청문회 때마다 차마 들어줄 수 없는 비열함의 꼼수가 넘치는 얼굴이 쉼 없이 등장하는 것도 군중보다는 언제나 창조자가 한수 위에 있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의 원인에는 군중의 우매함도 있지만 특유의 `귀차니즘`도 한몫한다. 체념의 친구가 된지 오랜 군중은 웬만해선 별다른 자극을 받지 못한다. 군중의 피로지수가 높을수록 위대한 창조자를 만나기는 어렵다.
/김살로메(소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