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항동해초 이전과 책임소재

박동혁기자
등록일 2012-10-30 21:46 게재일 2012-10-30 5면
스크랩버튼
▲ 박동혁 사회부 기자

최근 포항공항 확장에 따른 포항 동해초등학교 이전문제가 수면 위로 급부상하고 있다. 지난 26일에는 동해초 이전추진위원회 등 학교 측이 포항교육지원청 앞에서 학교 이전을 요구하는 집회를 갖기로 했다. 주민들을 통해 학교 이전이 동해면 주민들의 `숙원사업`중 하나이며, 이미 이전추진위 등이 관계기관에 수차례 진정서를 제출했지만 번번이 묵살돼 왔음을 확인했다.

분위기는 집회가 강행되면 자칫 물리적 마찰에 대한 우려도 예상됐다. 다행히 포항교육청이 발등의 불을 끄기 위해 간담회를 통해 이들과의 대화에 나서면서 우려했던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동해초와 교육청은 학교 인근 포항공항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학습권을 심각하게 침해하고 있다며 학교 이전으로 결론을 내린 채 헤어졌다.

교육청은 현 위치에서 1천100m 떨어진 동해토지구획정리지구에 연면적 1만㎡의 부지를 마련해 놨다고 한다. 표면적으로 보면 현재 31개 학급 630명이 재학중인 동해초의 새 보금자리로 적지다. 하지만 동해지구는 20년전 토지구획지구로 지정된 이후 현재까지 개발에 별다른 진전이 없다. 도로는 커녕 상·하수도 등 기초적인 토목공사도 완료되지 않았다. 허허벌판에 학교를 지을 수는 없다.

학교 건립에 소요되는 예산 문제는 더 심각하다. 교육청은 포스코가 신제강공장을 건립하면서 포항공항 활주로 확장공사를 촉발시켰다며 학교 이전 예산을 지원해 줄 것을 바라고 있다. 그러나 이는 앞뒤가 맞지 않은 발상이다. 공항 활주로 확장이 학교 이전의 직접적 사유는 아니다. 기자가 취재하는 날도 학교 위로는 비행기가 수십차례 이·착륙을 반복하고 있었다. 활주로가 짧아서 과거에 소음이 작게 들리지는 않았다. 따라서 교육청은 더이상 책임론 운운하며 포스코만 바라봐서는 안 된다. 허허벌판에 가까운 학교 부지를 쳐다보며 지역기업에 기대어 어떻게든 예산을 확보하려는 모습은 `과연 교육청이 어린 학생과 학부모를 위해 학교 이전의 진정성을 갖고 있을까`라는 의구심마저 들게 한다. 이제는 즉흥적이고 편의적인 임기응변식 `권의지계(權宜之計)`에서 벗어나 교육의 존재 이유에 걸맞는 `백년지대계`를 세워야 할 때다.

/박동혁기자 phil@kbmaeil.com

기자수첩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