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오픈 국제태권도·신라문화제·차(茶)문화 발상지 체험 등<bR>전국 최대 규모 전통 축제 및 각종 문화행사로 경주 전역 `활기`
경주의 가을이 신라 천년 수도의 위상에 걸맞은 각종 문화행사로 꽃 피고 있다.
특히 `신라천년의 비상(飛上)`을 슬로건으로 한 제40회 신라문화제 기간에는 당시 신라 향(香) 내음으로 관광객들을 매료시키는 등 전통문화계승이 돋보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차(茶) 문화의 발상지가 경주라는 사실이 새롭게 조명되는 등 경주의 위상이 문화행사를 통해 입증되고 있다.
◆ 제7회 경주코리아오픈 국제태권도대회
국내외 태권도 관계자 및 40개국 2천여명의 태권도 선수와 임원이 참가한 가운데 지난 25일 화려하게 개막했다,
30일까지 6일간 선수들이 겨루기와 품새로 서로의 기량을 겨루는 이 대회는 외국 선수들에게 태권도의 발상지가 경주임을 홍보하는 중요한 체육행사이기도 하다.
지난해 성공적으로 치른 2011경주WTF 세계태권도 선수권대회 때 전 세계 태권도인들에게 보여준 경주의 훈훈한 인정과 친절했던 이미지와 함께 조직위원회 홍보위원들이 해외 협회와 클럽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홍보를 펼친 결과 당초 예상보다 훨씬 많은 국내외 선수들이 참가했다.
조직위원회는 지난해 세계태권도 선수권대회 때와는 달리 보문단지보다는 시내의 게스트하우스, 모텔 등에 가능한 해외선수단 숙소를 배치하고, 축구공원 5, 6구장에 보조연습장과 계체장을 설치했다.
특히 태권도관련 유적지 관광을 위한 시티투어 때는 시내중심상가와 전통시장을 경유하게 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와 태권도문화 보급을 위해 혼신을 기울였다.
◆ 제40회 신라문화제
`신라천년의 비상(飛上)`을 슬로건으로 한 신라문화제는 대한민국의 대표적 향토문화제로서 `시민참여형 축제`로 한 단계 도약했다는 평가를 얻으며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경주시의 축제 비전을 제시했다.
올해 신라문화제의 가장 큰 특징은 관객 몰이를 위한 연예인 초청 공연행사 중심의 틀을 과감히 벗어던지고 기획 단계부터 오로지 경주가 갖고 있는 천년문화 유산으로 승부수를 던진 것이 특징이다.
지난 12일 축제의 시작을 알린 것도 23개 풍물단체 등, 1천여명의 시민들이 참여해 경주 전역을 돌며 축제의 흥을 돋운 `길놀이`와 신라 천년의 드높은 기상을 잘 표현한 대규모 풍물공연인 `천년의 소리와 몸짓`으로 홍보를 했다.
또 신라고 학생들이 대거 참여해 의미를 더한 `매소성 전투재현`도 신라문화제의 개막식 무대를 화려하게 장식해 시민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올해 처음으로 선보인 `매소성 전투재현`에는 국내 최정상급 무대와 음향, 조명 전문가들이 참여해 실감나는 전투신과 함께 풍물공연과 특수효과를 곁들여 관람객들에게 타임머신을 탄 것 같은 생생한 감동을 선물했다.
또 13일 경주 봉황대 중앙로에서 펼쳐졌던 줄다리기 등 민속경연도 전국 곳곳에서 몰려든 가을 나들이객들의 발길이 이어지면서 대성황을 이뤘으며 특히, 줄다리기 대회는 시민 화합의 장이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황성공원 일원에 마련된 전통문화 체험장인 `신라촌`과 `화랑촌`에서도 옛 신라인들의 지혜와 화랑의 기상을 몸소 체험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운영돼 큰 인기를 끌었다.
친구와 연인 등 젊은 층을 겨냥해 승마체험, 발굴체험, 신라토기 만들기, 신라의상체험, 주령구 체험, 왕관만들기 체험 등 체험 프로그램을 대폭 강화해 참여할 수 있는 볼거리를 많이 만들었다.
특히 올해 신라문화제 기간 중 경주 예술의전당에서는 우리 전통음악의 진수를 보여주는 국악계의 최대 잔치인 `제31회 대한민국 국악제`가 함께 열려 축제의 열기를 더했다.
대한민국 국악제에는 유명 국악인 오정해씨를 비롯해 이생강 명인, 신영희 명창 등 기라성 같은 국악인 등 대한민국 최고의 춤과 소리와 악기가 한자리에 모여 경주를 국악의 향연으로 수놓았다.
이밖에 신라문화제 등 경주를 주제로 한 전국사진공모전과 한글·한시백일장, 고운서예대전, 신라미술대전, 시조경창대회 등이 행사 기간 경주 곳곳에서 펼쳐져 전통 문화 계승의 맥을 이어갔다.
◆ 차(茶) 문화의 발상지 경주
우리나라의 차 문화는 삼국시대와 고려시대 때 크게 발전했으며, 신라시대 때는 단순한 식음료를 넘어 불교 수행의 수단으로, 이른바 선차(禪茶)의 개념이 확립됐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매월당 김시습(1435~1493)에 의해 유·불·선을 통합한 사상을 바탕으로 한차(韓茶)가 창시됐며, 이는 곧 초암차(草庵茶)로서, 경주 남산 용장사 `초암`에서 탄생했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그래서 천년고도 경주가 우리나라 차 문화의 발상지로 꼽히기도 하며, 전통문화의 계승과 차 문화의 확산을 위해 제40회 신라문화제 기간 동안 체험행사가 열렸다.
최양식 이사장은 “해를 거듭할수록 축제를 통해 전통문화의 발상지인 경주가 `축제의 도시`로서 전국적인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며 “전문가들과 시민의견을 경청하여 앞으로 대한민국 최고의 축제를 발굴하여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경주/윤종현기자
yjh093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