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선유동·용추·쌍용·운달 산골마다 계곡 `별천지`

신승식기자
등록일 2012-07-20 21:17 게재일 2012-07-20 12면
스크랩버튼
▲ 용추계곡
백두대간의 명산 가운데 하나인 대야산에는 충북괴산과 문경쪽에 각각 선유동이라는 절경이 예로부터 시인묵객과 자연을 즐기는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신선들이 노닐었다는 선유동계곡은 대야산 골짜기의 맑은 물이 내려오면서 빚어낸 계곡으로 보는이로 하여금 탄성을 자아내게 할 만큼 빼어난 경관을 자랑한다. 계곡은 기묘하게 생긴 바위모양 등을 본떠 옥석, 대영귀암 등 선유구곡으로 나뉘며 최치원선생의 친필로 전해지는 `선유동`이란 글이 피서객을 반긴다.

선유동계곡 상류에는 조선 영조때 학자인 이재선생을 추모하기 위해 1906년 세워진 학천정이 운치 있게 자리 잡고 있다.

선유동 입구에서 대야산쪽으로 계곡을 올라가면 용이 하늘로 올라갔다는 암반계곡 용추 계곡이 나타난다. 암수 두마리의 용이 하늘로 오른 곳이라는 전설을 증명이라도 하듯이 용추 양쪽 거대한 화강암 바위엔 두 마리의 용이 승천할 때 용틀임하다 남겼다는 용비늘 흔적을 볼 수 있다.

문경시 농암면 내서리 쌍용계곡은 골이 깊고 물이 맑아 아주 옛날 청룡 황룡 두 마리가 놀던 곳이라 해 이름 붙여진 곳이다. 이 곳은 속리산에서 발원한 계곡이 도장산과 청화산을 좌우에 거느리고 흘러 물의 맑기와 차기가 손꼽히는 곳이다. 계곡 곳곳에 자리한 기암괴석은 신비함을 자아내고 수십명이 한꺼번에 앉아 있어도 비좁지 않은 넓은 바위에는 울창한 수풀 사이를 내리쬐는 햇볕이 들어 일광욕을 하기에도 안성맞춤이다.

문경시 산북면 김용리 운달산 아래 김용사 입구 운달 계곡은 냉골로 불려 질 만큼 여름철에도 시원한 바람과 맑은 물을 자랑하는 곳으로 가족단위로 야영을 하면서 인근 문화재를 둘러보거나 등산을 하기에 알맞은 곳이다. 잘 알려지지 않은 이 계곡은 잘 보존된 천연원시림과 지형으로 인해 햇빛 보기가 어려울 정도로 울창하고 맑은 물은 그리 깊지 않아 어린이들이 놀기에 적합하다.

문경/신승식기자 shinss@kbmaeil.com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