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분만 취약지 지원 사업 확대해야”

김세동기자
등록일 2012-07-19 21:35 게재일 2012-07-19 8면
스크랩버튼
영주지역 분만병원 전무… 원정출산 부담·불안 커<bR>중소도시에 대한 현실성 있는 지원책 마련 `필요`

【영주】 농촌 및 중소도시 산모들의 안정적인 분만 환경 구축을 위해 보건복지부가 추진중인 분만 취약지 지원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저출산에 따른 사회적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보건복지부는 2011년 전국의 48개의 시·군과 2012년 지속 사업을 위해 51개 지역을 선정, 시설비 10억원과 매년 5억원의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다.

현재 영주 지역을 비롯한 인구 10만 규모의 중소도시의 경우 병원 운영상의 문제점을 들어 산부인과 대부분이 분만 업무를 중단한 상태다. 영주 지역의 경우 4곳의 산부인과 중 분만 업무를 해오던 A산부인과가 올해 5월 1일자로 분만 업무를 중단함에 따라 영주지역에는 사실상 분만 병원이 한 곳도 없는 상태다.

영주지역 산모들과 의료관계자들은 분만시기의 변화와 급박성, 위험성, 경제적 사유, 산모의 심리적 안정성, 가족들의 접근 편이성, 여성 건강증진과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 증진 등을 위해 분만 병원 지원 사업의 현실성 있는 확대가 필요하다고 제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현재 추진 중인 분만 취약지구 사업지 선정은 지속적으로 선정해 지원할 방침이지만 사업의 확대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또 다른 계획은 수립되지 않은 상태”라고 밝혔다.

영주시 의료관계자는 “현재 보건복지부가 추진 중인 사업은 분만 취약지구에 대해 큰 보탬이 되고 있지만 도농복합형 지역의 가임 여성과 산모들의 안정적 출산을 위해서 분만병원 시범사업의 확대를 위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출산을 앞둔 강모(32)씨는 “지역내 분만이 어려워 타지역으로 나가야 하는 심리적 부담감과 경제성, 가족들의 불편함과 무엇보다 심리적 불안감이 크다”며 “심리적 안정감과 저소득층의 경제적 부담감 해소를 위해 아이 낳기 좋은 세상 대통령상을 수상한 영주시를 비롯한 수상 지역을 지원 사업지역으로 선정하고 중소도시에 대한 현실성 있는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강씨는 이어 “영주지역의 경우 이미 분만 시설을 갖춘 병원이 있어 정부의 일정부문 지원책만 있다면 지역내 산모들의 분만에 큰 보탬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건복지부의 취약지 선정 및 분류 기준는 지역내 분만율 30% 이하, 1시간의 의료기관 접근성 기준과 2008년 분만 건수 기준 250건 이상, 가임기 여성 인구수 등을 바탕으로 2개 유형으로 취약지 시범사업 지원 해당 지역을 선정하고 있다.

분만취약지 지원사업 선정 병원은 정부 지원금으로 산부인과 전문의 2인,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1인(전문의 확보 또는 연계 체제 구비, 응급 상황에 대한 연계 방안 포함), 마취과 전문의 1인(응급상황 연계방안 포함), 간호사 8인, 조리사 등 필수 인력 구성, 외래 진료실, 병실(최소 3병실), 분만 수술실, 진통실, 신생아실, 당직실, 일반촬영실, 검사실, 상담 교육실, 주방 및 조리실 등을 갖추게 된다.

경북 지역의 경우 울진군의료원과 예천 권병원, 영천병원 3곳이 시범사업 지역으로 선정됐지만 운영상의 문제점을 들어 영천 병원은 운영권을 반려하고 예천과 울진 2곳이 지난해 7월과 올해 7월부터 정상 운영에 들어갔다.

/김세동기자 kimsdyj@kbmaeil.com

북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