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도 용역남발은 책임회피용”

서인교기자
등록일 2012-06-13 21:19 게재일 2012-06-13 3면
스크랩버튼
이정호 도의원 “사업실패시 공무원 방어수단” <br> 용역비 과다책정 무분별한 발주에 대책 필요

경북도가 발주하는 용역이 본래 목적보다 결과물이 공무원의 의도적인 합리화와 책임회피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용역비는 갈수록 과대책정되고 이 또한 무분별하게 발주되고 있다며 대책마련을 요구했다.

이정호(포항·사진) 도의원은 11일 제255회 임시회 도정질문을 통해 “용역은 실질적으로 공무원이 수행하기에는 한계도 있겠지만, 상당수가 사업 실패 시 책임회피성 수단으로 남발되고 있다”며 “자체수행 비중을 높여 예산절감은 물론 공무원이 전문지식을 축적할 기회를 늘릴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경북도에서 실시한 용역은 2009년 125억 4천100만원, 2010년 97억3천300만원, 2011년 161억5천900만원으로 총 384억 3천400만원이 집행됐다는 것.

이 가운데 각종 공사설계용역 및 종합기술용역 등을 제외한 학술용역이 2009년 43건에 27억3천600만원에서 2010년 60건에 42억9천100만원이 집행돼 용역비를 기준으로 56.8%나 증가했으며, 2011년은 68건에 50억 4천400만원으로 전년도 대비 17.5%나 늘어났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공무원의 전문성 부족으로 인한 각종 연구과제의 외부 발주가 불가피하지만 요즘 공직사회 인력들의 수준이 어느 분야보다 우수한데도 이를 활용하지 못하고, 도 자체에서도 충분히 할 수 있는 사안도 책임회피를 위한 용역이 상당히 많다”며 “행정사무감사 등을 통해 수차례 지적했지만 용역은 오히려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따른 해결책으로 이 의원은 “ 사업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각종 용역의 사전 심의 및 철저한 사후관리를 위해 현재 운용 중인 경북도 학술용역심의위원회의 효율적인 운용대책과 더불어 도차원의 총체적 학술용역 관리의 필요성”을 촉구했다.

/서인교기자 igseo@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