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별 폭력실태 조사와 공개를 계기로 일선 학교에서 실제 일어나는 폭력을 줄이는 데 가장 효과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 이를 위해 실태조사에서 드러난 개별 학교 폭력의 유형과 수준을 심도 있게 분석해 학교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폭력, 시·도 교육청 차원에서 해결해야 할 폭력, 교과부와 경찰청이 개입해야 할 폭력을 구분한 다음 그에 맞는 처방이 내려져야 할 것이다. 교과부도 학교폭력대책지역협의회에 실태조사 결과를 보고해 지역사회의 협조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등 후속대책을 마련해 시행토록 했다. 하지만 학부모와 학생이 체감할 수 있는 수준으로 폭력을 줄여나가려면 집요하고도 지속적인 정책의지가 필요하다는 점을 교육당국은 명심해야 한다.
교육당국의 각종 대책에도 불구, 지난 16일 영주의 한 중학교에서 같은 반 친구에게 괴롭힘을 당한 이모군이 투신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해 충격을 주고 있다. 지난해 12월 대구 중학생 자살 사건이후 정부가 지난 2월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을 내놓았음에도 학교현장은 크게 변하지 않은 것이다. 가해학생 처벌을 강화하고 복수담임제를 도입해 매학기 1회 이상 학생면담을 의무화하는 등 학교의 책임성을 크게 높였지만 학교폭력은 계속되고 있었던 것이다. 특히 이군은 지난해 5월 학교 심리 검사에서 자살 고위험군으로 분류되는 등 위험징후가 포착됐음에도 자살을 막지 못했다. 이 군의 비극은 처벌중심의 대책만으론 폭력을 뿌리 뽑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새삼 일깨워준다.
우선 학교현장에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 무엇보다 교사들이 아이들을 바꾸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