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풍부한 자원으로 2020년 선진국도약 시도

김세동기자
등록일 2012-04-02 21:56 게재일 2012-04-02 13면
스크랩버튼
아시아의 5대 용 말레이시아의 용트림 (上)
▲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푸르 시가지에 마천루가 들어서면서 국제적 도시로서의 모습을 갖춰 나가고 있다.

경북 명품사과 및 우수농산물 2012 해외 수출촉진 홍보행사가 지난 달 14일부터 19일까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서 열렸다.

경북도와 도의회, 대구경북능금농협, 경북통상, NH무역을 비롯해 경상북도 내 사과주산지인 영주시와 안동시, 문경시, 상주시, 김천시, 청송군, 봉화군, 예천군, 군위군, 의성군, 영양군 등 11개 시군이 참가했다. 신흥 강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의 잠재력을 현지 취재했다.

`경북 명품사과·우수농산물 2012 해외수출 홍보행사` 열려

`말레이시아 비전 2020` 선진국 경제성과 이룩 위해 추진

`다양한 천연 및 관광자원 등으로 고부가가치 창출 기대

1957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해 아시아의 5대 용으로 분류되며 신흥 경제 부국으로 발돋움하는 말레이시아는 여전히 역동적이다. 전통문화와 함께 영국의 통치 시대를 거쳐 발전한 유럽형 사회 구조, 풍부한 천연 부존자원을 원동력으로 삼아 국제적 도시 형태로 발전의 속도를 높여 나가고 있다.

특히 말레이시아의 수도 쿠알라룸프르는 정치 경제를 주도하는 중심 도시로 국가적 차원에서 집중 투자하고 있다. 경제 중심지로 인근 신도시로 개발 중인 푸트르자야는 정치 집중 지역으로 계획도시를 개발, 말레이시아의 또 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말레이시아의 비전 2020

말레이시아는 독립 후 30여 년간 이룩한 경제적 성과(소득수준의 향상, 산업생산의 증대, 산업 기반의 확충)를 바탕으로 미국과 유럽 같은 수준의 선진국 도약을 위해 말레이시아 비전 2020을 추진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정부와 민간의 동반자적 관계를 바탕으로 산업화와 사회개조를 시도하는 청사진으로, 경제사회의 정의 구현과 시장경제체제 확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마하티르 수상이 도입한 것으로 정부가 민간부문을 계도하고 지도자 간의 가치관을 민간의 사고방식과 경영방식에 적극 주입시키는 것이 골자다. 2020 비전 계획은 우리나라 새마을운동에서 착안했다고 한다.

▲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프르 시가지 곳곳에서 펼쳐지고 있는 건설 현장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말레이시아의 성장 동력

말레이시아는 지리적으로나 인종적, 문화적으로 ASEAN, 중국, 인도네시아 등 주요 유망 시장으로 부상하는 지역에 접근하기 쉬운 유리한 위치에 있다. GDP 대비 총외채 수준은 2003년 이래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

석유·천연가스·석탄·주석 등 광물자원과 목재·야자수·고무 등의 풍부한 자원의 보유와 이를 이용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고급 기술은 말레이시아의 자랑이다. 경제 부흥시기에 기간사업 부문에 충분한 투자를 해 다른 아시아 국가들과 비교하면 안정적 인프라도 구축돼 있다. 비교적 안정된 정치, 경제, 사회적 구조가 지속 성장 가능한 국가 체제를 마련하고 있는 것이다.

▲ 말레이시아 내 최대 신선 농특산물 수입회사인 EURO ATLANTCS 회사내 작업장 모습. 말레이시아 시장점유율 50% 차지하는 한국산 딸기를 수입하는 업체다.

■농업 환경.

말레이시아 토착민에게만 사용, 소유 및 매매가 허락된 부미푸트라란 독특한 개념의 부동산 정책을 펴고 있다. 390년간 지속된 토착민 우대 정책으로, 외부 자본으로부터 현지인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 내용이다. 이는 현재 국가 간 진행 중인 FTA협상에 있어 국가 간 난항을 겪는 주요 원인으로 국제 협상에 있어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와는 별도로 토지와 건물에 대한 소유권을 인정하는 프리홀드(Free Hold), 건물의 소유권만 인정하는 리스홀드(Lease Hold)제도가 함께 존재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전 국토는 각 주가 소유권을 갖고 있다. 국토의 70%가 열대우림이며 농경지 면적은 760만㏊로 전 국토의 23%를 차지하고 있다.

총 농경지 면적 중 4.8%만이 관계수리 면적으로 강우량 등 기후 변화에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농업구조 하부가 낙후된 것으로 보이고 있다.

농업인구는 960만 명 수준으로 전체 인구의 40%를 차지하고 1980년 61% 수준에서 매년 농업인구가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주요 생산 농산물은 고온 다습한 열대우림 기후적 특성으로 팜오일·천연고무·코코아 등 열대농작물과 쌀·코코넛·사탕수수·파인애플 및 열대 과일, 원목과 제재목 등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주요관광지

말레이시아 전 국토의 3/5가 열대우림 지역으로 희귀한 동식물을 접할 수 있다. 특히 바다를 중심으로 한 휴양지, 폭포·호수·바위 암벽·신비스러운 동굴 등은 각각의 매력을 발산해 관광객들을 불러들이고 있다.

이중 말레이시아의 밥 그릇이라 불리는 케다와 동양의 진주라 불리는 페낭, 풍요로운 역사와 문화, 민속을 그대로 보유하고 있는 페락, 세계에서 가장 화려한 산호초와 해양생물이 서식하는 사바 등이 유명하다. 온천지 에어 한가트, 피크닉 명소 탄중루, 휴양지의 천국 팡코르 섬 등이 대표적 관광지로 꼽힌다.

▲ 쿠알라룸푸르 최대 유통매장인 SUNWAY PYRAMID SHOPPING CENTER에 한국산 제품들이 진열 판매 되고 있다.

■이슬람 문화

말레이시아 국민의 60% 이상이 이슬람교를 믿고 있고 국교로 되어 있다.

이슬람 교인들은 하루 5차례의 기도를 올리며 기도 시간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어 기도 때문에 근무 시간에 지장을 가져와도 고용주는 이를 제재하거나 금지 시킬 수 없다.

이슬람 교인들은 종교를 위해 태어나 살아가고 죽는다는 의식을 갖고 있다. 이슬람 교인들의 삶은 곧 종교를 위한 것이다. 종교별 매장 문화도 다양하다.

이슬람 교인들과 불교를 축으로 하는 중국계는 우리나라와 같이 매장 문화를 갖고 있으며 힌두교를 믿는 인도계는 화장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이슬람 매장 문화는 우리와는 크게 달라 관을 사용하지 않고 흰 천 등으로 시신을 싸서 있는 모습으로 매장한다.

이 같은 매장법은 사후 세계에서도 이슬람교를 유지하라는 뜻을 지니고 있으며 시신의 머리 방향은 메카로 향하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말레이시아의 국가 형태

적도 북단에 있는 말레이시아는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등과 인접한 국가로 13개 주에 9명의 술탄(왕)이 지배권을 갖고 정부 형태는 의원내각제로 현 내각수반에 나집 나작총리가 행정을 이끌고 있다. 또 말레이시아 국가원수의 임기는 5년으로 9개 주 술탄이 순환하며 국왕 직을 수행한다. 말레이시아의 인구는 2천572만 명이며 수도 쿠알라룸프르에 160만이 거주하고 말레이계 62%, 중국계 23%, 인도계 7%, 기타민족 8%로 다민족 형태의 국가 형태를 갖고 있다. 국가 면적은 32만 9천758㎢로 한반도의 1.5배 한국 3.3배 규모다. 1인당 국민소득은 8천423$로 주요산업 부분은 전기전자, 원유, 석유화학, 팜 오일, LNG 등이며 연평균 27℃, 연평균 강수량 2천410㎜의 열대성 기후를 갖고 있다.

말레이사의 종교 형태는 이슬람교 60.4%, 불교 19.2%, 기독교 9.1%, 힌두교 6.3%, 기타 5%로 이슬람교 중심 국가다.

말레이 중국 인도계 등 세 민족으로 구성돼 있지만 민족 간 갈등이 크지 않고 서로의 문화를 존중하며 이슬람을 국교로 하면서도 타 종교의 자유를 인정하며 공존한다는 것이 큰 특징이다.

이러한 다양성 속에 천혜의 부존자원과 다민족의 공동체, 각 종교의 자율성, 인근 유망 시장에 대한 쉬운 접근성, 풍부한 관광자원 등은 말레이시아를 아시아의 부국, 또 세계 속의 경제 대국으로 성장해 나가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쿠알라룸푸르에서/김세동기자

kimsdyj@kbmaeil.com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