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법무 컨설팅 등 지원
이는 복잡한 노무관리로 인해 발생하는 기업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현장 노무관리의 합리적 체계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을 위한 것이라고 상주시 관계자는 밝혔다.
상주지역은 전통적 도농복합형 도시로 2·3차 산업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현재 제조업체 등 6천900여개 업체에 약 2만4천명의 근로자가 종사하고 있다.
시가 노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 배경은 주 40시간 확대와 복수노조 시행 등으로 전문적인 노무관리가 요구됐기 때문이다.
지원 내용으로는 노동관계법에 부합하는 근로계약서·급여대장·취업규칙 등의 작성, 합법적인 임금관리 방안 설계, 합법적인 근로시간·휴게·휴일·휴가 운영방안 설계, 노동사건·노동법무 컨설팅 등이다.
지원 요청시는 전화·방문상담이 가능하고 기업체에서 희망할 경우 기업지원담당(공인노무사)이 직접 해당업체에 출장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설정, 맞춤형 노무관리 제도안을 제시한다.
강석도 상주시 경제기업과장은 “전문적 노무관리 서비스 제공으로 기업의 어려움 해소는 물론 근로조건 개선을 통한 근로자의 사기진작과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며 “상반기 출범하는 상주상공회의소와 연계해 법률·회계분야에서도 전문가의 자문을 받을 수 있는 `종합기업지원센터`를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곽인규기자
ikkwac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