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8월31일 국립국어원은 `두리뭉실하다, 짜(자)장면`등 39개 단어를 표준어로 인정한다고 발표했다. 국어원은 생활 속에 많이 사용되지만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아 불편을 초래한 단어에 대해 어문 규정에서 정한 원칙과 다른 사례와의 관계, 실제 사용 양상 등을 조사해 국어심의회에 상정했고 드디어 확정 판결을 받은 것 같다. 짜장면은 지금까지 외래어 표기법에 어긋난다는 이유로 인정받지 못하다가 이번엔 `자장면`과 나란히 복수 표준어로 인정 받았다. `간지럽히다`의 경우 `간질이다`와 같은 뜻으로 많이 쓰여 표준어가 되었다. 이처럼 많은 뜻으로 쓰여 표준어가 된 단어는 `남사스럽다(기존 표준어 남우세 스럽다, 등물(목물), 맨날(만날), 복숭아뼈(복사뼈)`등이다. `눈꼬리, 먹거리, 두리뭉실하다`등 25개는 `눈초리, 먹을거리, 두루뭉술하다`와 어감이나 뜻에 각각 미묘한 차이가 있는 단어로 인정되어 기존 표준어 외에 추가로 표준어로 인정됐다. 우리 말과 글은 세계의 어느 언어도 다 발음할 수 있는 장점과 특색을 지니고 있다. 발음이 가장 까다롭다는 프랑스 말까지 발음으로 표기할 수 있으나 세계인들이 경탄하는 언어다. 국립국어원 연구실 발표에 의하면 새로 선정된 39개 표준어가 된 것이며 짜장면은 표준어이기 때문에 자장면과 함께 교과서 등에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우리가 눈에 익으며서 자주 쓰는 말로 현재 표준어와 추가 표준어로 함께 쓰는 말로 세간-세간살이, 토담-흙담, 쌉사래하다-쌉싸름하다, ~기에, ~길래, 날개-나래, 냄새-내음, 메우다-메꾸다, 손자-손주, 어수룩하다-어리숙하다, 연방-연신, 맨송맨송-맨숭맨숭(맹숭맹숭), 새치름하다-새초롬하다, 아옹다옹-아웅다웅, 찌부듯하다-찌부둥하다, 치근거리다-추근거리다 등이다. 자주 쓰고 많이 쓰는 말들을 체계화시켜 표준어가 된 것이다. 우리말이 외국에 수출까지 하고 있다.
/손경호(수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