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심포지엄에서 안중근 평화연구원의 신운용 박사가 `한국의 안중근에 대한 비판적 검토`, 두물머리 복음화 연구소 황종렬 박사가 `안중근 토마스의 죽임과 죽음에 대한 이해`라는 주제 발표를, 영남대 김정숙 교수와 대구가톨릭대 송창현 신부가 토론을 진행한다.
이경규 소장(역사교육과 교수)은 “안중근 의사는 천주교 사상을 통해 근대 민권의식을 성숙시켜 나갔으며,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저격한 것도 한 개인을 미워해서가 아니라 이토가 동양평화를 해치고 조선의 국권을 침탈하려고 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안중근연구소는 학생들에게 안 의사의 사상과 업적을 널리 알리고 잘 이해하게 하려고 오는 21~25일 대구가톨릭대 재학생을 대상으로 신앙으로 본 안중근이라는 주제로 백일장을 실시한다.
대구가톨릭대는 안 의사의 딸 안현생 여사가 1953~1956년 문학과 교수(불문학 전공)로 봉직한 소중한 인연을 간직하고 있으며 안 의사의 숭고한 애국정신을 기리고자 지난 5월 교내에 안중근연구소를 설립하고 안 의사 동상을 세웠으며 지난해에는 순국 100주년 추모음악회 개최와 추모비 건립 행사를 했다.
/심한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