눌어(訥漁)라고도 일컬는 이 민물고기를 전통방식으로 잡아내는 천렵(川獵) 시연회가 오는 6일부터 8일까지 3일간 안동시내 낙동강변에서 열린다.
낙동강 누치잡이 강촌마을 풍물보존회(회장 김명호 도의원)가 준비한 `전통 명주그물 누치 후리기` 천렵 시연 행사는 낙동강변 옛 나루터 등 강촌 마을의 전형적인 전통 풍물을 재연ㅏ는 안동지방 민속행사로 명주실로 짠 그물을 이용해 모래여울에서 누치를 직접 후려내는 강 어부들의 옛 전통 천렵방식 그대로 재현된다.
6일 오전 11시 개막식이 끝나면 곧바로 삼베옷과 모시옷 차림의 강 어부 40여명이 벌이는 누치잡이가 시작된다. 장정 여럿이 모여 누치가 걸려 든 그물을 당기는 모습과 걸린 누치를 그물에서 빼 내는 과정에서 어른 팔뚝만한 대형 누치를 현장에서 잡아내는 것을 시작으로 그 막이 오른다.
풍물패의 흥겨운 가락 속에 진행되는 이 행사는 낙동강 반변천 합수지역(안동 용상4주공아파트 앞) 낙동강 여울에서 펼쳐진다.
사발에 구멍 뚫은 흰 천을 씌우고 고무줄을 동여매 물고기를 유인해 잡는 추억의 `피라미 사발무지`와 싸릿대로 엮은 통발로 물고기를 덮어서 잡는 `동사리 통발치기`도 선보인다.
또 투망 던지기와 물속 돌을 떡매로 쳐 고기를 잡는 `꺽지바윗돌 떡매치기`, 파리처럼 생긴 가짜 미끼낚시를 줄에 총총 매달아 피라미를 잡는 `여울살 줄낚시`에다 해질 무렵에는 `반두그물 횃불치기`로 이어지는 등 옛 강 어부들의 다양한 전통 물고기잡이 방식을 그대로 엿볼 수 있다.
이밖에 누치 떼를 풀어 놓은 물웅덩이도 마련돼 관광객들이 반두그물을 이용해 직접 누치잡이 체험도 할 수 있다.
잡은 누치를 맛볼 수 있는 기회도 마련됐다.
20여개의 갖가지 만장이 내걸리고 무명 천막과 삼베 차양이 드리워진 강변 행사장에는 강촌마을 아낙네들이 나와 대형 가마솥을 걸어 두고 갓 잡은 누치로 매운탕을 푸짐하게 끓여 낸다.
시원한 강바람을 벗삼아 안동 잉어찜과 모래무지 조림, 쏘가리모닥불 구이 등 낙동강 최상류계 안동지방의 강촌 토속음식을 다양하게 맛볼 수 있다. 이날 끓여 낸 가마솥 누치 매운탕은 행사 참여자는 물론, 참여한 관광객 전원에게 점심으로 무료 제공한다.
안동지방 일원의 맑은 강과 하천의 청정 수질을 자랑하고 더불어 지역에서 잡히는 민물고기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열리는 이날 행사에는 여름 장마철 전통 우의인 도롱이와 삿갓도 선보이며, 매일 오후 4시부터는 `모래여울 투망 던지기` 경연대회도 열려 투망을 가장 멀리 던지고 가장 넓게 펴는 사람에게 소정의 상금이 수여된다.
권두현 안동축제관광조직위원회 사무처장은 “4대강사업의 발원지이기도 한 안동 낙동강 본류 현장에서 대형 누치를 직접 잡아내는 모습을 보여주는 강 어부들의 전통 물고기잡이 풍물은 우리 강이 살아 있음을 역동적으로 보여 주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개최 배경을 밝혔다.
/권광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