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도 퇴직공무원 임용 여전

서인교기자
등록일 2011-10-04 20:26 게재일 2011-10-04 1면
스크랩버튼

산하기관장 절반넘게 채워…경력 전문성과 동떨어져

김하수 도의원 지적

경북도가 출자·출연한 기관에 퇴직공무원의 기관장 임용이 또다시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24개에 이르는 이같은 기관 가운데 50%가 넘는 13개기관이 이들로 채워져 있기 때문이다. 특히 도의 임원추천위원회는 형식적인 통과 의례 수준으로, 출자·출연기관의 특수성과 전문성을 고려한 인사 검증과 기관장 추천에는 한계가 있다는 주장마저 제기되면서 이에따른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김하수(청도, 무소속6·사진) 경북도의회 의원은 4일 제250회 임시회 도정질문에 앞서 사전배포한 자료에따르면 도 산하 기관의 전문성과 퇴직공무원의 경력 연계가 상당히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도의 대표적인 공기업인 경상북도개발공사는 경북도에서 자치행정국장, 정무부지사 등 요직을 거치고 경상북도경제진흥원장을 6년간 재임하다가, 다시 지난 1월부터 3년 임기의 경북개발공사 사장으로 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김 의원은 “생물산업에 전문성을 요구하는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도 경북도의 주요 보직을 두루 거친 퇴직공무원이다”며 “과연 설립목적에 맞는 적절한 인물인지 의아스럽다”고 했다. 김 의원은 “경상북도경제진흥원도 중소기업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지만, 원장 또한 퇴직공무원이,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또한 민족문화유산의 보호·보존, 조사·연구, 수장·전시 및 그 활용을 통해 민족문화를 전승·보급하고, 아울러 문화유산의 총제적인 보존관리체제의 확립을 목적으로 한 법인임에도 퇴직공무원이 임용돼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김 의원은“경북그린카 부품 진흥원, 경상북도환경연수원, 경북행복재단, 경상북도청소년지원센터, 경북장학회, 경상북도교통연수원 등 모두가 관련기관의 고유한 목적과 특성 및 전문성과는 거리가 먼 퇴직공무원이 기관장을 하고 있다”고 전제하고 “조례나 정관과는 괴리가 있는 사람들이 사장과 원장을 맡고 있다”며 이에따른 문제를 제기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김 의원은 “도내 3개 의료원 중 김천의료원을 제외한 안동과 포항의료원장은 무려 21년과 12년 임기를 보장하고 있다”고 말하고 “21년을 한다는 것은 경북도의 인재 양성과 인력 풀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며 개선을 촉구할 예정이다.

/서인교기자 igseo@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