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대학을 정리하기 위한 정부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이 장관은 “내달초 정부의 재정지원 대상이 되는 상위 85% 대학의 명단을 공표한다”고 말했다. 이렇게 되면 재정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는 하위 15% 구조개혁 우선대상 대학의 명단이 자동으로 공개되는 것이다. 최근 교과부 산하 대학구조개혁위원회는 부실대학 판정 지표로 재학생 충원율, 취업률, 등록금 의존율, 법인전입금 비율 등 10개 항목을 확정했다고 한다. 구조개혁위는 이 지표를 토대로 경영부실, 비리대학 등을 골라내 단계적 구조조정을 하게 한 뒤 회생할 수 없다고 판단된 대학은 퇴출할 방침이다.
국내대학은 현재 4년제 대학과 전문대를 포함해 350개에 이른다. 지난 1990년의 241개에서 20년 사이 1백 개 이상이 늘어난 것이다. 대학생 수도 332만 명에 달하고 대학진학률은 82%로 세계에서 가장 높다. 이러니 고졸 학력이면 충분한 일자리에 대졸자가 몰리는 등 학력 인플레이션은 갈수록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 문제는 부실·비리 대학에 대한 구조조정을 어떻게 실천에 옮기느냐이다. 교과부는 지난해에도 학자금 대출 제한 대학 30곳을 추려냈지만, 이들 대학에 정부보조금이 200억 원 가까이 지원된 것으로 드러났다. 학생이 모자라 직원을 신입생으로 둔갑시키는 등 입학 정원도 못 채우거나 출석 한 번 안 해도 학점을 주는 등 학위장사를 한 부실·비리대학들이 국민 세금으로 연명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니 등록금 인하를 위한 정부의 재정지원에 앞서 부실대학 정리가 선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