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시의회와 시민단체, 영주시민 등 버스요금 민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북도 관계자가 지난 10일 영주시를 찾아 대책회의를 개최하는 등 뒤늦은 불끄기에 나섰다.
지난 1일 영주-동서울간 시외버스 요금이 1만4천300원에서 1만8천700원으로 4천400원(30%)이 인상됐다.
특히 영주-동서울보다 약 40㎞가 먼 안동 지역의 경우 1만5천700원으로 변경되며 영주보다 먼거리에 있으면서도 3천원이 싼 것으로 나타나자 시의회와 영주시민들은 요금 인상안을 납득하기 어렵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영주시의회는 부당한 요금 인상이라는 주민들의 민원이 계속되자 요금인상 승인을 철회할 것을 촉구하고 요금인상안이 철회되지 않을 경우 시의회 차원에서 강력 대응할 방침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요금 인상은 당초 40인승의 일반 직행형에서 27인승 우등버스로 전환함에 따라 여객자동차사업법 제3조 및 동법시행규칙 제8조에 근거해 시외버스 직행형을 고속형(일반, 우등 구분) 전환, 국토해양부의 인가를 받아 차종별 등급에 맞는 요금을 인상하게 됐다는 입장을 밝혔다.
현재 영주· 동서울(강남)간 버스 운행은 경북코치, 경기고속이 일반, 우등으로 구분 운행중이며 안동-동서울(강남)간은 경기고속만 일반, 우등 구분없이 운행중이다.
김인환 영주시의회 의장은 “서민 경제가 어려운 시점에서 공공요금의 인상은 물가 안정에 큰 영향을 미칠수 있다”며“대중교통 수단인 버스 요금 인상 요인 발생시 주민 의견 수렴 등 다양한 절차를 통한 검토가 필요한 사안이었다”고 주장했다.
/김세동기자 kimsdy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