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과 27일 이틀간 서울에 내린 폭우로 강남과 광화문 등 시내 중심부 지역을 비롯해 주요 간선도로와 저지대 주택가가 물바다로 변했다.
이틀 동안 내린 400㎜ 이상의 폭우로 서울에서만 13명(9명 사망, 4명 실종)이 숨지거나 실종된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에서 물난리로 두자릿수의 사망·실종자가 발생한 것은 2001년 7월이래 10년 만이다.
서울시는 이날 오전 관악구 지역에 내린 시간당 110.5㎜의 국지성 호우는 100년 만에 나타날 수 있는 폭우라고 설명했다.
일부 지하철역이 침수되면서 지하철 운행이 중단·지연되고 있고 도로에 침수된 차량이 방치되면서 차량 흐름에 큰 차질을 빚어 출근길 대란이 퇴근길까지 이어지고 있다.
시내 곳곳 절개지에서 산사태가 발생하고 정전 피해가 잇따르면서 도시 기능이 거의 마비된 모습을 보였다.
■강남·광화문 일대 `물바다`=27일 소방당국과 경찰, 시민 제보에 따르면 관악구와 강남구, 서초구 등 한강 이남 지역과 광화문 등 서울 주요 지역 상당 부분의 기능이 오전 중 사실상 마비되고 시민들은 교통 대란을 겪었다.
대치역 인근 사거리가 물에 잠기면서 은마아파트 진입로가 모두 잠겨 잠시 고립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 순식간에 발생한 산사태=27일 강원 춘천지역에 277.5㎜가 넘는 집중호우가 내린 가운데 소양강댐 인근에서 발생한 산사태로 민박집 등 5채가 붕괴·매몰되면서 대학생 등 13명이 숨지고 26명이 다쳤다.
특히 인하대 학생들은 사고 현장 인근의 초등학교에서 봉사활동을 마치고 민박집 1, 2층에 나뉘어 잠을 자던 중 무더기로 변을 당해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무려 39명의 사상자가 난 최악의 산사태는 이날 오전 0시8분께 춘천시 신북읍 천전리 소양강댐 인근에서 발생했다.
이 사고로 과학체험 봉사활동에 나선 인하대학교 학생 등 민박집 투숙객 등 46명이 매몰돼 이경철(20)씨 등 13명이 숨지고 김현빈(20)씨 등 26명이 중경상을 입어 강원대병원 등 인근 4개 병원에 분산돼 치료 중이다.
최초 신고자인 최모(33.춘천.회사원)씨는 “퇴근길 차량 운행 중 집 한 채가 흙에 쓸려 떠내려가고 있었다”며 당시의 긴박했던 상황을 전했다.
사고 당시 민박에 있던 대학생 이모(27) 씨는 “발명동아리에서 지난 25일부터 3박4일 일정으로 초등학생 등을 대상으로 한 과학체험 봉사활동을 왔다”며 “민박 2층에서 잠을 자던 중 `으르릉`하는 소리에 놀라 눈을 떠보니 계단이 모두 흙에 잠겨 갇혀 있다 가까스로 구조됐다”고 말했다.
토사에 파묻혔다가 구조돼 병원치료 중인 김모(21)씨는 “잠을 자던 중 `쿵` 소리에 놀라 깨어보니 방안으로 흙더미와 나무뿌리 등이 밀려 들어와 놀라 뛰쳐나갔다”고 말했다.
김씨는 또 “이 과정에서 일행 가운데 1명은 피신하다가 미처 챙기지 못한 신발을 신으려고 돌아서는 순간 흙더미에 밀려 크게 다쳤다”며 “흙더미와 건물 잔해물 등을 피해 도로 쪽에 피신한 사이 대학생들의 `살려달라`는 비명이 이어지고 토사도 계속 흘러내리는 등 참혹했다”고 말을 이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