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취수원 이전 갈등 새 국면

남보수기자
등록일 2011-07-28 21:35 게재일 2011-07-28 9면
스크랩버튼
【구미】 대구 취수원이전문제로 인한 대구시와 구미시간 갈등의 골이 갈수록 깊어지고 있다.

KDI의 대구 취수원 이전에 따른 비용편익 분석 결과를 놓고 구미시와 대구시가 서로 달리 해석을 하며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는 등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구미가 지역구인 김성조 국회의원은 26일 “국가 공인정책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의 용역분석결과 대구취수원 이전시 비용대비 편익이 0.86에 불과해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나 사업 추진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고 밝혔다.

대구가 지역구인 조원진 의원은 “먹는 물 문제에 무슨 B/C 타령이냐. 물 문제는 건강권 확보와 삶의 질의 문제라며 대구취수원 이전문제는 경제적으로 접근할 문제가 아니다”고 반박했다.

이에 구미시의 취수원 반대 추진위원회는 “대구시의 구미취수원이전은 앞으로 100년간 전 국민을 먹여 살릴 5단지 조성을 반대하고, 입주업체들에도 환경적 부담만 전가한다”며 “대구시는 취수원 이전에 더 이상의 행정력 낭비와 지역갈등 조장을 즉각 중단하고 다른 출구전략을 세워라”고 촉구했다.

구미시도 대구시의 주장대로 취수원을 도개면 상류 이전해 하루 95만t의 물을 취수할 경우 구미 일원의 농·공업용수 부족, 하천오염 수치 증가하게 되고 특히 오염총량제가 강화되면 구미공단 입주 기업들의 환경부담금이 늘어나 기업활동을 위축시키는 등 문제점이 발생한다며 반대 입장을 표시했다.

또한, 토지 행위제한이 불가피해 이곳 주민들의 재산권 행사에도 많은 지장을 가져온다며 주민들의 반발도 우려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1급수 지역이므로 상수원보호구역 추가 지정은 어렵고 또한 95만t의 물을 추가로 대구시에 공급하더라도 낙동강 사업 완료 때 하천 유지수량이 현재보다 더 많아 문제 될 게 없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경북도의회는 지난 정례회 본회의에서 대구 취수원을 구미로 이전하면 취수원 하류지역의 강물 유지 수가 모자라 수질악화, 구미공단의 공업용수 공급 차질을 빚게 된다며 대구 취수원 구미 이전 반대 결의문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이에 앞서 지난 4월 경상북도의회 전인철 의원은 대구 취수원 이전과 관련해 경북도와 대구시가 함께 상생할 방안을 마련하는 특별결의안 체택을 건의하기도 했다.

전 의원은 당시 대구시는 대구취수원 구미이전 계획을 철회하고, 그 대안으로 국토해양부가 예산을 지원해 1일/10만 t 규모의 대체 취수원 개발을 요청했다.

한편, 국토해양부와 수자원공사는 2009년 말 낙동강 중류지역의 물 문제 해소로 2025 수도정비기본계획을 수립고시하고 경북대구권 맑은 물 공급사업계획을 마련해 2010년 8월 말 완료예정이었지만 양자차단체간 첨예한 대립으로 무산됐다.

/남보수기자 nbs@kbmaeil.com

중서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