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군은 지난 1970년부터 사용해 온 예천읍 청복리 쓰레기 매립장이 포화상태에 이르자 올해 초 20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이곳을 순환형 매립장으로 조성키로 하고 사업 추진을 서두르고 있다.
그러나 쓰레기매립장 인근 예천읍 청복리 주민들이 쓰레기 매립장 조성사업에 반발해 주민협의회를 구성하고 집단 반발하고 있다.
주민들은 요구사항이 받아 들여지지 않자 “사업 추진을 몸으로 막겠다”며 강력히 반대해 사업은 착공조차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청복리 주민들은 지난해 12월 중순 주민회의를 열고 청복 1, 2리 주민 및 농가, 출향인, 지원단체 등으로 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주민들의 요구사항이 관철되지 않을 경우 집단행동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예천군은 이에 따라 2천만 원을 들여 주민 쉼터를 조성하고 청복1리와 2리의 마을 진입로 포장을 위해 6억원의 예산을 추경에 확보해 민원해소에 나선다는 방침을 수립해 놓고 있다.
이같은 군의 입장과는 달리 청복리 주민들의 요구사항이 15개 항목에 40억여원에 이르면서 예천군이 난색을 표하고 있다.
일부 지역주민들은 “청복리 주민들의 반대 입장도 이해는 가지만 지역에 꼭 필요한 쓰레기 매립장 조성의 조속한 착공을 위해 대승적 차원에서 생각해 주길 바랄 뿐”이라며 “소지역 이기주의로 인한 님비 현상이 심각할 경우 지역주민 전체가 피해를 입을 수 밖에 없지 않겠냐”고 말했다.
군 관계자는 “어주민들의 요구 사항을 수용해 줄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해 7월 중에는 공사 착공에 들어가야 한다”며 “그렇지만 군의 재정 형편상 예산 확보가 도저히 불가능한 사안에 대해서는 주민들도 다소 양보를 해주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정안진기자 ajjung@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