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연일 우복리 쓰레기매립장 축구장 조성계획이 사실상 백지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당초 20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 축구장 5면을 조성할 예정이었으나 조성비가 과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검토수준이었던 사업을 타당성 조사 등도 제대로 진행되지 않은 채 너무 구체화한 결과이다. 타당성 조사용역이 중단됐다고 하니 원점에서 다시 한번 재검토해보길 바란다.
축구장 조성 등 스포츠시설의 저변확대를 반대하는 시민은 없다. 축구든 배구든 야구든 사회인들이 스포츠를 즐길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은 지자체의 목표다. 스포츠를 통해 시민들이 건강권을 유지하고 발전시켜 나아간다면 결국 국익에도 도움을 주게 된다. 의료비가 절감되면 국민 개인은 물론 건강보험공단의 재정운용에도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사업규모다. 축구장 5면 조성을 위해 20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는 것은 지나쳤다. 포항시의 연간 가용재원은 1천억 원 안팎 수준이다. 이 정도의 재정규모에서 국비를 제외한 100억 원을 축구장 조성에 투입하는 것은 시기적으로 적절치 못한 것이 사실이다. 진입로 등도 제대로 마련되지 않은 곳이어서 진입로 개설비용 역시 지방비로 충당해야 한다. 포항시의회 일부 의원들도 이런 점을 지적하고 있다. 타당성 조사 용역이 중단됐다고 하니 다행스럽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운동장을 만들지 않겠다고 하면 그것도 곤란하다. 원점에서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끌어올릴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포항시의 일방적인 용역발주도 지적받아야 한다. 포항시는 지난달 말 임시회 기간에 의회에 관련 보고를 하면서도 용역 발주 사실을 알리지 않았다. 의원들은 모두 현장을 둘러보고 용역발주를 결정짓겠다며 보류시킨 것으로 알고 있는데도 용역은 이미 발주됐다.
시의회와 제대로 협의가 이뤄지지 않은 것임이 분명하다. 집행부와 의회를 흔히 수레바퀴에 비교한다. 어느 한 쪽이 잘 구르지 않으면 삐걱거릴 수밖에 없다.
용역을 발주하고도 하지 않은 것처럼 보고하는 집행부나 이를 모른 채 보고를 받는 의회나 비난받아 마땅하다. 시민의 혈세를 허투루 써서는 곤란하다. 한 푼이라도 절감해야 한다는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의원이나 집행부 공무원 모두 새겨들어야 할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