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항·경주 행정통합, 이젠 포항이 답할때다

관리자 기자
등록일 2009-10-01 20:27 게재일 2009-10-01 19면
스크랩버튼
경주도심위기범시민연대를 비롯한 경주지역 27개 시민사회단체가 지난달 25일`경주의 장기발전을 위해 포항과 행정통합을 해야 한다`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지역발전을 위한 긴급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결정했다는 것이다.


경주가 진정으로 역사문화도시로 우뚝 서려면 인구 100만명 이상의 도시가 돼야 가능하다는 것이 포항과의 행정통합을 촉구하게 된 배경이라고 하니 앞으로 이 문제가 어떤 식으로 흘러갈지 경주와 포항 모두 초미의 관심사가 될 전망이다. 이미 여러 차례 일각에서 제기된 사안이기는 하나 경주도심위기시민연대 등 긴급간담회에 참석한 시민사회단체 대표들이 경주에서 상당 부분의 여론을 선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냥 넘겨 볼 사안만도 아닌 듯하다.


포항과 경주는 묘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우면서도 먼 사이였고, 양 시를 관통하는 형산강 관리 하나를 두고 티격태격하며 다투는가 하면, 그러면서도 경주는 포항의 산업을, 포항은 경주의 찬란한 역사문화를 부러워하는, 어찌 보면 양면성을 갖는 그런 관계였던 것이다.


따라서 경주와 포항이 통합하려면 시민들 간에 깔려있는 묘한 감정을 해소하는 정서 소통부터 먼저 돼야 한다. 양 지역 시민들이 지금처럼 어정쩡한 관계에서는 통합이란 것 자체가 사실상 말장난에 그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양 지역 간 시민 간격을 좁히고 행정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양 지역의 사회 시민단체들이 해야 할 역할이 적지 않다. 함께 먼저 만나 의견을 나눠 시민여론을 상기시키는 것과 통합에 대해 진지하게 토론하는 등의 공론화 장은 시민사회단체 외에는 추진할 곳도 없기 때문인 것이다. 덧붙인다면 경주 시민단체들의 통합 제의를 받은 포항시와 포항시의회가 이 부분에 대해 빠른 시일 내에 입장 표명을 내 놓아야 한다고 본다. 포항에서 아무런 반응이 없는데 경주에서 어떻게 진척시킬 수 있겠는가.


통합 이야기가 나온 마당인 만큼 포항시와 경주시가 나서 차제에 포항과 경주 보문단지를 직선으로 잇는 4차선 이상의 도로를 개설하는 방안도 검토했으면 한다. 포항의 보문단지, 경주의 포스코 등 그런 인프라나 관계가 우선 정립되는 등 분위기가 무르익어야 양 지역 간 통합 논의가 자연스레 제기될 것이고 성사도 될 수 있는 것 아닌가.


남광현의 이슈 브리핑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