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시는 지난해 1월 타 시도에서 우량기업 또는 대학이 이전해 올 경우 최고 50억원까지 보조금을 지급하는 `문경시투자유치촉진에 관한 조례`를 마련해 시행중이다.
이 조례를 근거로 지난 2월 마성면 외어리에 공장을 신축중인 철도차량 제작회사인 성신산업(주)에 10억원의 첫 보조금을, 7월에는 건축 외장재 생산의 (주)알루텍에 무려 50억원을 지급했다. 또한 계측기기를 생산하는 대성계전(주)에 6억1천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했다.
이 외에도 3~4곳의 이전 기업체와 대학이 보조금을 지원받을 예정이다.
열악한 재정자립도 등 예산부족에 시달리는 문경시의 입장에서 이 같은 거액의 보조금 지원은 파격적이다.
이뿐 아니라 문경시는 이전기업체에 인허가 절차 간소화 등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어 외지 기업체들의 투자의욕을 불러일으키는 등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시의 이 같은 적극적인 기업유치 전략에 대해 향토기업들 사이에서는 “이전기업에 제공되는 보조금과 행정 편의에 비해 기존 지역업체에 대한 배려는 거의 없다”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시가 외형적인 기업유치 실적에 치우치면서 `문경시투자유치촉진에 관한 조례`에 조차 향토기존기업에 대한 지원문구는 하나도 없어 지역 기여도가 높은 향토기업의 지원·육성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한 게 아니냐는 것.
문경의 한 농공단지에 입주한 지 10년이 넘었다는 모 업체대표는 “최근 공장을 증설해 100여명의 직원을 추가로 고용하겠다는 신규투자 의향을 문경시 측에 전해 보조금 지원여부를 타진했으나 지원할 근거가 없다는 답변을 들었다”며 “가뜩이나 좋지 않은 경기불황으로 향토기업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이때 향토기업도 신규로 투자할 경우 지원을 해줘야 투자의욕이 생기는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실제로 지난 14일 이한성 국회의원(문경·예천)이 지역 산업체를 방문해 가진 간담회에서도 `향토기업에 대한 역차별이 있다`는 지적이 쏟아지기도 했다.
이 같은 향토기업들의 불만섞인 지적에 대해 신현국 문경시장은 “기업을 유치하는 만큼, 지역에 뿌리를 내린 향토업체를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지역에서 영업중인 향토기업도 신규로 투자할 경우 보조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문경시투자유치촉진에 관한 조례`개정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또 “조례에 명시된 제조업뿐 아니라 주민 고용 효과가 큰 서비스업종의 기업에도 투자 보조금을 지원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고도현기자 dhgo@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