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홍보전문가 서경덕씨 “유력지에 지속적 캠페인 펼터”
지난해 7월과 8월 뉴욕타임스와 워싱턴포스트에 독도와 동해 관련 전면광고를 게재해 큰 화제를 불러 모았던 한국 홍보 전문가 서경덕(35·성신여대 객원교수)씨가 또 뉴욕타임스에 동해(East Sea) 전면광고를 또 실었다.
‘뉴욕타임스의 실수(Error in NYT)’라는 제목의 이번 광고는 11일자(현지시각) A섹션 X면에 게재됐다. 지난달 6일 뉴욕타임스에 게재 된 한반도 관련 기사에 ‘Sea of Japan’으로 표기된 사항을 ‘East Sea가 옳다’라고 지적하는 그림을 넣은 것.
광고 하단에는 ‘한국과 일본 사이의 바다는 지난 2000년 동안 세계 여러 나라에서 ‘동해’로 불려왔고 동해상에 존재하는 ‘독도’ 또한 한국의 영토로 인정받았으며 이 사실은 누구도 바꿀 수 없는 역사적 진실이다’라고 강조했다.
마지막 문단에는 ‘전 세계가 인정하고 가장 영향력 있는 신문인 뉴욕타임스가 진실이 통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아시아에서 작은 사실 하나를 알려드리니 참고해 달라’는 설명을 덧붙였다.
서 교수는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신문인 뉴욕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 워싱턴포스트의 지난 10년간 아시아 관련 기사를 검색해 본 결과 ‘East Sea’로 표기된 것은 단 한 번도 없었다. 각국 정부 및 글로벌 기업, 국제기구 및 언론사에서 가장 많이 구독하는 이런 글로벌 신문에 ‘일본해’로 잘못 표기된 것을 바로 잡고 싶어 광고를 실었다”고 말했다.
또 서 교수는 “이번에도 지난해에 네티즌 약 11만명이 다음-아고라를 통해 모아준 광고비용과 모나미, 두웰테크놀로지, 가덕ENG 등 기업의 임직원분들이 모은 성금을 통해 광고를 낼 수 있었다”며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그는 또 “앞으로 에러 인 월스트리트저널(Error in WSJ), 에러 인 워싱턴포스트(Error in WP) 등 유력지에 지속적인 광고 캠페인을 펼쳐 나갈 계획이다. 특히 올해는 간도를 빼앗긴 지 100년이 되는 해인데 간도협약이 무효임을 전 세계적으로 알릴 수 있는 광고도 준비 중이다”고 말했다.
/김두한기자 kim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