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에 건설중인 명품혁신도시 성공 여부는 경북도와 중앙정부간의 무한협력이 제일 큰 과제로 제기됐다.
이는 11일 경북도가 대구경북연구원에서 한국토지공사, 경북도개발공사, 김천시, 연구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명품도시로 건설하기 위한 ‘경북혁신도시발전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에서 나타났다.
이날 발표된 최종보고서에서 경북혁신도시로 이전하는 13개 공공기관의 조기정착을 위한 이전지원계획과 공공기관 임직원 및 가족의 조기정착을 위한 주거환경, 교육환경의 개선 등 정주여건 조성방안과 혁신도시의 산업경제기능 및 광역경제권내 연계강화를 위한 방안이 제기됐다.
또 저탄소 녹색성장 도시만들기, 여성(가족)친화적 도시만들기 등 정부정책에 부응하기 위한 방안과 명품혁신도시를 만들기 위한 U-City, 범죄예방설계(CPTED), 무장애(BF)설계 등 각종 미래형 첨단기법도 포함됐다. 특히 기반시설건설에 국비를 지원하는 등 중앙정부의 전략적 재정지원과 혁신도시의 자급자족을 위한 각종 제도적 방안이 절실한 것으로 제기됐다.
이번 연구용역은 경북혁신도시의 산업경제 기능을 강화하고 우수한 정주환경 조성을 통해 광역경제권내 지역성장의 거점으로 육성하는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해 11월부터 5월까지 6개월간 대구경북연구원에서 수행했으며 국토해양부의 혁신도시 자문위원회의 및 중앙정부 건의, 중간보고회 등을 거쳐 최종안을 마련한 것.
남재억 경북도 균형개발과장은 “최종안은 중앙정부의 의지와 지원이 필요한 내용으로 그동안 자문회의 등을 통해 조율한 것으로 예산확보를 위해 중앙부처를 방문해 설득하겠다”며 “당초 계획대로 2012년말까지 13개 공공기관이 모두 이전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하겠다”고 강한 의지를 보였다.
/서인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