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과 민주당이 4·29 재보선 이후 집안싸움으로 시끄럽다.
여당인 한나라당은 친이(이명박)와 친박(박근혜) 의원들 사이에 재선거 후보 공천문제를 둘러싸고 재연됐던 갈등이 ‘친박 원내대표론’ 을 거치면서 더 깊어져 어수선한 상태이고, 민주당에서는 정동영 전 통일부장관의 공천 배제로 시작된 주류·비주류 싸움이 원내대표 경선과정에서 ‘대리전’ 양상으로 표출될 조짐이다. 이 때문에 5월 한달은 정치권이 다른 국정현안에 신경 쓸 겨를이 전혀 없을 것 같은 분위기다.
6월 임시국회를 앞두고 여야 정치권과 정부가 머리를 맞대고 절충점을 찾아야 할 비정규직 관련 법안과 미디어 법안 등 쟁점 현안 논의는 당연히 뒷전일 수밖에 없는 일이다. 이들에게 경제난으로 고통받는 서민들의 실상을 제대로 알고 있는지 묻고 싶은 심정이다.
여야 내부 갈등의 원인은 한마디로 불신이다. 권력을 쥔 쪽이 2인자를 만들어 그와 권력을 나누고 싶지 않은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도 있지만 다른 시각에서는 나누고 배려할 줄 아는 것이 바로 정치지도자에게 필요한 포용력이며 정치력이다.
실상을 인정하지 않고, 반대편 사람들을 무조건 적대시하고 배제하면 더 큰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는 게 지난달 국회의원 재선거의 교훈이기도 하다.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 사이에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별도의 절차나 노력 없이 단순한 ‘자리 나누기’로 진정한 화합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당내 불신도 해소하지 못하면서 국민의 지지와 신뢰를 바라는 것도 무리다. 박 전 대표의 말처럼 주류와 비주류는 우리나라 정치판에 항상 있는 거였다. 양측 인사들이 끝내 화합하지 못하고 ‘한 지붕 두 집’으로 간다면 결국 민심도 등을 돌리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