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이 일반 요금에 앞서 심야전력부터 인상될 전망이다. 일반요금 체계는 아직 인상시기에 대해 뚜렷한 결론이 내려지지 않았지만 별다른 제약요인이 없는 심야요금에 대해서는 정부가 수요억제를 위한 대책 마련에 들어가 인상이 곧 가시화될 것으로 보인다.
지식경제부 전기위원회는 10일 “심야전력은 낮에 집중되는 전력부하를 줄여 수요를 분산시키기 위해 도입된 것이나 2000년대 들어 낮은 요금 탓에 수요가 급증하면서 한전의 적자 요인이 돼왔다”고 밝히고 “그간 정부가 심야전력 요금을 지속적으로 올리고 신규 개설을 제한하면서 지난해 심야전력 소비량은 1만9천391GWh로 전년에 비해 0.4% 감소했으나 정부와 한국전력은 여전히 가스 발전을 가동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좀 더 적극적인 수요 감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수요량이 늘면서 발전 단가가 싼 석탄 화력과 원자력 발전 등 기저발전 외에 가스발전 등 단가가 비싼 발전소까지 가동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 특히 심야전력은 일반 전기요금과 달리, 물가지수에 포함돼있지 않아 인상조치를 단행하기도 쉽다. 김쌍수 한국전력 사장도 최근 “심야전력으로 인해 연간 5천억∼6천억원 가량의 적자가 발생하고 있다”며 “상반기에 심야전력 요금을 7.5% 인상할 방침”이라고 밝힌 바 있다.
/박순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