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한국 평균수명 증가율 OECD 국가 중 최고

임재현 기자
등록일 2004-12-23 17:14 게재일 2004-12-22
스크랩버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소속 30개 국가들 가운데 한국의 평균수명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 남성의 2002년 평균수명은 73.4세로 42년전인 지난 60년의 51.1세에 비해 43.6%가 늘어났으며 여성의 평균수명은 53.7세에서 80.4세로 49.7%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한국에 이어 여성수명 증가율이 높은 나라는 터키로 41.0%를 나타냈다.

또 멕시코 30.2%, 일본 21.4%, 포르투갈 20.5%, 스페인 15.1%, 오스트리아 13.6%, 룩셈부르크 12.9%, 프랑스 12.6%, 핀란드 12.4% 등의 순이었다.

주요 국가들중에는 미국 9.2%, 영국 9.1%, 독일 12.3%, 스위스 11.4% 등으로 조사됐다.

여성 수명 증가율이 가장 낮은 나라는 덴마크로 6.9%에 머물렀고 네덜란드.슬로바키아는 각 7.0%였다.

이와 함께 남성 평균수명 증가율은 터키가 43.0%로 한국에 비해 0.6%포인트가 낮아 2위에 그쳤다.

남성 평균수명 증가율은 터키에 이어 멕시코 29.2%, 포르투갈 20.6%, 일본 19.9%, 오스트리아 15.9%, 핀란드 14.4%, 호주 14.0%, 스위스 13.2% 등의 순이었다.

또 주요 선진국은 미국 11.7%, 영국 11.5%, 프랑스 12.8% 등이었다.

증가율이 가장 낮은 나라는 슬로바키아로 지난 60년에 68.4세였으나 2002년에는 69.9세로 2.3% 늘어나는데 머물렀다.

또 헝가리 3.8%, 체코 6.2%, 덴마크 6.3%, 노르웨이 7.2%, 캐나나 8.4%, 폴란드 8.5% 등이었다.

종합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