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성매매방지법 선포이후 윤락행위가 음지에서 변칙적으로 성행하면서 정기적인 성병검진을 받던 여성들마저 단속을 우려해 정기적인 검진을 기피하고 있어 또 다른 사회문제를 낳고 있다.
경북도는 8일 올 들어 9월23일 성매매방지법선포 이전까지 도내 포항과 경주, 칠곡 등지에서 성매매여성들이 한달평균 1천200~1천300건씩 정기성병검진을 일선 보건소에서 받았으나 법선포이후 한달평균 12.7%수준인 130~140건으로 성병검진실적이 뚝 떨어졌다고 밝혔다.
세부적으론 외국인을 상대하는 칠곡과 경주는 평소 검진수준을 유지한 반면 포항은 검진여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저조한 실적은 일부 성매매여성들이 정기적인 건강검진차원에서 성병검진을 받은 반면 나머지 여성들은 영업을 폐업하거나 타 지역으로 옮겨가고 있는 데다 경찰단속을 우려, 고의로 성병검진을 기피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대구시의 경우 9월이전 한달평균 1천여건에 이르던 정기성병검진건수가 9월 법선포이후 10월 28건, 11월 18건으로 성병검진자체가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이는 집창촌에 대한 경찰단속이 강화되면서 대부분 여성들이 타 지역으로 옮겨가거나 속칭 개인영업에 나서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 때문에 최근 대구·경북지역에선 길거리 윤락행위나 노래방, 나이트클럽 등을 통한 2차 변칙영업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는 것이 보건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이에 따라 대구·경북 전역이 검증되지 않거나 확인되지 않는 성접촉으로 인한 성병의 무차별적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는 것이 보건 관계자들의 한결같은 목소리다.
경북도 한 관계자는 “최근 성병검진여성이 크게 줄어 걱정이다”며 “보건소에서 성병검진이란 용어자체가 사라질 지경으로 정부차원에서 이들에 대한 대책마련을 추진 중이나 성병검진이 사라지거나 음성화할 경우 제2의 에이즈로 확산될 우려마저 크다”고 말했다.
/강진구·서인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