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말 유학자·한의학자 ‘이규준’
학문·사상 중심 ‘동해석곡도서관’
소설·마당극 등 인문학강좌 열풍
올 연말 기념관 착공… 표상 정립

포항시립동해석곡도서관. /포항시립동해석곡도서관 제공

포항 출신의 조선 말 실학자이자 한의학자였던 석곡 이규준(1855∼1923)이 포항 문화의 대표 아이콘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가 남긴 학문과 사상을 중심으로 마련된 도서관 인문학 강좌가 인기 만점 주제가 됐고, 관련 소설과 마당극도 창작됐다. 올 연말엔 이규준을 기리는 기념관이 착공되는 등 석곡은 코로나19 팬데믹 속 시민들의 인문학적 갈증을 채워주는, 지역의 주류 문화 콘텐츠로 새롭게 자리매김하고 있다.

석곡 이규준의 생애와 사상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폭발하면서, 모름지기 그는 포항 사회의 새로운 표상으로 정립돼가는 중이다.

◇이규준의 사상을 실생활에서 즐기는 사람들

#. 40대 직장인 김인한 씨는 지인들에게 선물하기 위해 최근 한 온라인 서점에서 동화작가 김일광이 펴낸 역사소설 ‘석곡 이규준-백성을 섬긴 마지막 유의’를 10권가량 주문했다. 김 씨는 올 초 우연한 기회에 ‘석곡 이규준’을 접한 뒤 선생의 삶과 가르침에 빠져들었다. 매일 쳇바퀴 도는 삶, 남들만큼은 살아야 한다는 압박감 속에서 돈을 벌고 적당히 즐기는 여가를 삶의 전부로 여겼던 그는 “이제야 비로소 나를 돌아보게 됐다”고 말한다. 김 씨는 “살아가는 이유는 무엇인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깨닫고 난 뒤 일상이 달라졌다”고 흐뭇해한다.

#. 석곡 이규준 열풍은 도서관 강연프로그램과 공연계에도 이어졌다. 포항시립동해석곡도서관은 시·산문·기행문을 남긴 문인이기도 한 이규준을 기억하기 위해 지난 2019년부터 매년 3월부터 11월까지 매주 금요일 ‘석곡 시 낭송 연구회’를 꾸준히 열어왔다. 또한 지난달 24일부터 매달 넷째 주 수요일에 석곡 선생의 생애와 저서 등 관련 내용을 탐구하는 동아리 ‘석곡 선생 사랑회’를 운영한다. ‘석곡 한시 국역’, ‘한시로 보는 역사와 철학’ 강좌 등 신설된 강좌도 성황리에 진행되고 있다. 특히 포항 예심국악소리는 석곡 이규준의 일대기를 완성도 높은 마당극으로 그려낸 창작극 ‘석곡 하얀 찔레꽃’을 제작, 올해로 4회째 공연해 호응을 얻고 있다.

◇백성에 가깝게 다가갔던 유의(儒醫·유교 교리에 대한 정확하고 깊이 있는 지식을 통해 의술을 펼치는 의사)… 애국 애민 정신 본보기

석곡 이규준은 스스로 학문을 깨친 유학자이자, 황도연·이제마와 함께 당시 한의학을 빛낸 삼대(三大) 의가(醫家)로도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오늘날 한의학계에서 유명한 사상체질을 주창한 동무 이제마 선생과 함께 근대 한의학의 양대 산맥으로 평가된다. 석곡은 특히 서민들을 위한 의학서 ‘황제소문절요’를 펴냈고, 허준의 ‘동의보감’을 보완 연마한 의학서 ‘의감중마’ 3권을 쓰기도 했다.
 

동해석곡도서관 ‘한시로 보는 역사와 철학’ 강좌 수업 모습.  /포항시립동해석곡도서관 제공
동해석곡도서관 ‘한시로 보는 역사와 철학’ 강좌 수업 모습. /포항시립동해석곡도서관 제공

◇석곡기념관 건립 사업도 순항 中

포항시는 근대 ‘한의학’과 ‘철학’ 두 학문의 융합 선구자로서 포항을 빛낸 석곡 이규준 선생을 기리기 위해 올 연말에 그의 고향인 포항 남구 동해면 도구리에 지하 1층, 지상 2층 연 면적 1천370㎡(415평) 규모의 석곡기념관을 착공할 계획이다. 2022년에 완공될 예정인 기념관에는 선생의 생애·철학·사상 등 활동 결과물의 체계적 관리 및 보존, 그리고 지역 전통문화 계승과 문화 콘텐츠 확충을 위한 학술연구 및 편찬자료의 전시공간이 마련된다.

석곡기념관 건립에는 약 40억 원(국비 16억·지방비 34억)의 사업비가 투입되며, 석곡의 족적을 확인할 수 있는 각종 책자와 400여 점의 기념품 전시를 목표로 후손 등과 전시품 수집 문제를 협의 중이다.

◇석곡 이규준이 마당으로 나온 이유는

160여 년 전 실학자를 조명한 이규준의 문화 콘텐츠들이 각광을 받게 된 이유는 뭘까. 모순으로 가득 찬 사회에 대한 반작용, ‘돈’과 ‘실용’에 매몰된 현실에서 한걸음 비켜나 인간과 세계의 본질을 되찾겠다는 흐름이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신동호 인문사회연구소장은 “감옥 같은 코로나 사태의 장기간 자가격리가 우리에게 가장 소중한 것이 무엇인지 다시 생각하게 한다”면서 “인문학을 통해 자기 자신의 삶에 대한 성찰의 시간을 갖는 것이 새로운 치유 수단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윤희정기자

    윤희정기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