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게도 출근 시간이 있습니다. 월급을 받는 직장이 있는 것도 내세울만한 직업이 있는 것도 아니지만 스스로가 정한 출근 시간을 지키려고 애씁니다. 남편이 출근한 뒤 집안을 후다닥 정리하면 아홉시. 보무도 당당히 컴퓨터가 있는 책방으로 발걸음을 옮깁니다. 저만의 유쾌한 출근을 감행하는 것이지요.

근무처(?)에서 해야 할 업무는 당연 글쓰기입니다. 일가를 이룬 대작가들처럼 하루에 원고지 열 장 내지 스무 장씩 정해놓고 써야지 하고 다짐합니다. 직장인이 사무를 처리하듯 글쓰기도 자연스레 일의 일부가 되기를 기대하는 것이지요. 누가 강요한 게 아니라 스스로 원해서 하는 일이니 의지대로 될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모니터 앞에만 앉으면 미숙한 업무처리로 질책을 앞둔 신입사원처럼 안절부절못합니다. 속이 울렁거리고 머리가 지끈거리지요. 대가들을 벤치마킹하겠다던 불타던 의지는 온 데 간 데 없습니다. 스스로 약속한 원고 매수를 지키는 날보다는 그렇지 못하는 날이 더 많습니다.

책상에 앉으면 곧바로 글쓰기 목록파일을 클릭해야 하는 것이 순서이건만 박약한 의지력은 언제나 포털 사이트부터 접속합니다. 세상사 이런저런 간접 경험이라도 해야 쓸거리가 주어진다는 변명을 진작 준비해놓은 것이지요. 움직이는 걸 지독히도 싫어하는 저에게 ‘간접 경험’이라는 핑계는 그럴듯한 방어벽이 되어 주긴 합니다.

오랜 딴 짓 끝에 겨우 목적한 원고를 완성합니다. 모든 초고는 걸레다. 헤밍웨이가 한 말입니다. 초고 완결이라는 잠깐의 자부심도 헤밍웨이의 저 일갈 앞에서는 자유롭지 못합니다. 객관적인 눈썰미를 보탤수록 쓴 글은 허섭스레기로 보일 뿐입니다. 그렇다고 그 ‘걸레’가 전혀 쓸모없는 건 아닙니다. 퇴고를 거듭하면 얼추 쓸 만한 면 보자기로 거듭 나기도 합니다. 그걸 믿고 그냥 써나가는 것이지요. 문제는 걸레조차 만들지 않거나 만든 걸레를 방치하는 것이겠지요.

해리포터의 작가 조앤 롤링도 초고는 형편없었다지요. 하지만 절박한 궁핍, 절절한 외로움이 그녀의 초고를 천문학적인 재산으로 바꿔놓았겠지요. 이혼과 육아 설상가상으로 실업까지 겹쳐왔지만 끝내 초고의 끈을 버리지 않았기에 성공 신화를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걸레를 기워 온전한 조각보로 변모시키려는 에너지만 있다면 글쓰기보다 정직한 노동은 없을 거예요.

같이 글쓰기를 시작했어도 오라는 데 많은 재주꾼들은 절실함이 사라져 쓰는 데 전력투구하지 못합니다. 반면, 글재주가 덜한 이들은 불러주는 곳이 많지 않아 쓰는 것 말고는 달리 할 게 없습니다. 절치부심, 그저 쓰고 또 쓸 뿐이지요. 그러다 보니 작가가 되어 있더라는 우스갯소리도 있지 않습니까. 우직하게 쓰는 자 앞에 장사 없습니다. 쓰다 보면 빛이 보이겠지요. 제대로 쓴다는 전제가 붙긴 하겠지만.

제대로 쓴다는 건 무엇일까요. 글쓰기에 비결이 있을 리 없습니다. 쓰는 순간이 곧 비법일 뿐입니다. 잘 쓰는 이를 찾아가 조언을 구하는 것도, 옹골찬 자기 확신도 도움이 되겠지요. 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예민한 손끝과 묵직한 엉덩이입니다. 그 두 도구를 활용해 읽고 쓰기만 하면 됩니다.

글쓰기는 다른 예술 분야와는 달리 재능이 덜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재능보다는 열정이지요. 지속적으로 읽고 쓰다보면 자연스레 자신만의 문체와 이야기로 연결되겠지요. 이때도 사람들은 착각합니다. 머리와 가슴이 글을 쓰게 하는 줄 압니다. 단언컨대 글을 오래 쓰게 하는 힘은 엉덩이와 손가락이 먼저입니다. 엉덩이를 의자 깊숙이 묻고 더 이상 예민해질 손끝이 없다 할 정도로 온몸으로 쓰면 됩니다. 마음이 아니라 몸으로 쓰는 순간만이 글쓰기의 진정한 과정이자 비결입니다. 자판에 누른 글자가 늘어날수록 쓰는 비법을 터득하는 시간은 짧아집니다.

김살로메소설가
김살로메
소설가

글 한 번 잘 써보기가 저의 평생 숙제입니다. 하지만 욕망한다고 어디 글이란 게 써지더란 말입니까. 답을 알면서도 제대로 쓰지 못하니 안타깝기만 합니다. 쉽게 써지지 않는 글 앞에서 하루에도 몇 번씩 좌절합니다. 그렇다고 이 일을 쉬 내려놓지도 못할 것 같습니다. 숱하게 넘어지고 한없이 작아져도 결국 쓰는 자리에 있을 때만 살아있음을 느낄 것이기에. 돈도 많으면 좋겠고, 좋은 친구도 얻으면 더할 나위없겠지만 이 모든 걸 유예하고서라도 제대로 쓸 수만 있다면 바랄 게 없습니다.

끈질기게 쓰는 자는 끝내 이기고, 어영부영 자기검열에 빠진 자는 출근한 일터에서 이런 반성문이나 쓰게 됩니다. 자기 긍정과 자기 확신으로 무장된 스스로를 기대해 봅니다. 어느 작가가 말하는 걸 똑똑히 지켜봤습니다. “잘 쓰는 자가 아니라, 오래 쓰는 자가 이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