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서 다섯 번째 아프리카 돼지열병(ASF)이 발병하면서 돼지열병의 전국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경북과 대구지역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인 것은 마찬가지다. 지난 17일 경기도 파주에서 발병한 아프리카 돼지열병은 경기도 연천에 이어 23일에는 한강 이남지역인 김포에서도 발생했다. 당국의 경계망 속에서도 24일에는 인천시 강화군의 한 농장에서 돼지열병이 발병하면서 사실상 당국의 방역망이 뚫렸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불과 일주일 만에 다섯 군데에서 돼지열병이 발생하면서 잠복기(1주일)를 넘어 빠르게 확산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전국적 확산을 우려한 목소리도 처음 나왔다.

돼지열병이 번지기 시작한 경기도, 인천 등 수도권지역 양돈농들은 큰 충격에 빠져 있다. 자치단체들도 대책 마련에 골몰하지만 방역 비상으로 가을축제까지 무더기로 연기해야 하는 딱한 입장에 놓여 고민이 이만저만 아니다. 경북도 영천시와 성주군이 ASF 확산 방지를 위해 이번 주말 열기로 했던 축제를 연기 내지 취소키로 했다고 한다. 안동과 문경, 구미 등 일부 지역은 예정대로 축제를 치르나 방역활동 강화 등 번거로움이 많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4일 정오부터 48시간동안 다시 전국에 가축일시 이동중지 명령을 발동하고 ASF 중점관리지역도 확대했다. 그러나 때늦은 조치라는 비판도 일부에서는 제기된다. 당초 발동했던 가축 이동중지 명령을 서둘러 해제하는 바람에 초동대응이 실패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아직도 돼지열병의 정확한 감염경로가 밝혀지지 않고 있는 것도 걱정거리다.

어쨌거나 돼지열병의 확산은 반드시 막아야 한다. 돼지 열병은 일단 걸리면 무조건 폐사하는 무서운 병이다. 백신도 치료제도 없다. 모든 나라가 살처분에 의존하고 있다. 국가정보원은 최근 국회에서 “북한 전역에서 돼지열병이 지속적으로 발병하고 있으며 평안북도에는 돼지가 전멸했다”는 설명을 했다. 돼지열병은 양돈농가뿐 아니라 돼지고기 가격 폭등 등 국민생활에 미치는 후유증도 적지 않다. 전국 3위의 양돈지역인 경북도 돼지열병 방지에 낮밤이 있을 수 없다. 지금은 모두가 총력으로 나서 막아야 할 때다. 청정 경북의 명예를 지키는데 조금의 빈틈이라도 있어서는 안 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