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남한에서의 중도세력 통합으로 한반도 분단체제 변혁

윤희정기자
등록일 2016-09-23 02:01 게재일 2016-09-23 13면
스크랩버튼
변혁적 중도론백낙청 유재건 등 지음·정현곤 엮음창비 펴냄·정치 사회
“한국 사회 분석에서 한반도적 시각은 필수이지만 `변혁적 중도주의`는 남한 사회에 적용되는 담론입니다. 혁명이란 말을 쓰기가 거북해 `변혁`이란 말로 바꿔쓴 것은 아닙니다. 남한과 북한 전체가 변혁돼야 한다는 전제 아래서 남한에서 모든 중도세력의 광범위한 통합이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변혁적 중도론`(창비)은 민족문학론, 분단체제론 등 지난 40년간 진보적 담론들을 생산해온 백낙청(78) 서울대 명예교수가 한반도를 아우르는 운동노선이자 실천전략으로 제안한`변혁적 중도주의`를 다룬 책이다.

백 교수는 지난 2009년 펴낸 네 번째 사회평론집 `어디가 중도며 어째서 변혁인가`에서 한반도 정세와 통일 과정을 진단하면서 그 실천적 개념으로 `변혁적 중도`라는 개념을 제안했다. 백 교수가 이 책에서 내놓은 핵심적인 주장은 제목 그대로 우리 사회가 `변혁적 중도주의`를 실천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이에 대해 남쪽 사회의 중도 통합을 통해 한반도의 선진화와 평화를 제한하는 분단체제를 변혁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변혁적 중도론`은 `분단체제론`에 대한 이해에서 논의를 시작하는 백씨의 글 3편, 변혁적 중도주의의 가능성과 과제를 살펴본 유재건 부산대 교수 등의 글 6편을 엮었다.

한국사회 변혁의 운동노선이자 실천전략으로서 변혁적 중도론의 개념과 현시점에서의 실천과제를 제시하는 서장, 변혁적 중도론의 이론적 기반인 분단체제론에 대한 이해와 변혁적 중도의 관계를 정리한 제1부 `분단체제와 변혁적 중도론의 제기`, 분단체제론을 역사성, 체제론, 남북관계, 경제권 등으로 나눠 고찰한 제2부 `분단체제론의 지평`, 변혁전략, 사회운동, 현실정치, 새로운 운동주체의 구상 등 변혁적 중도론의 현실적합성을 탐색한 제3부 `변혁적 중도주의의 실천`으로 구성됐다.

서장 `변혁적 중도의 실현을 위하여`는 언뜻 상충되는 것으로 보이는 `변혁`과 `중도`의 개념과 의미, 변혁적 중도론의 이론적 기반인 분단체제론과의 관계, 포용정책 2.0과 2013년체제론 검토에 이어 이 담론의 실천을 위한 과제를 점검함으로써 한국사회 변혁의 운동노선으로서 변혁적 중도론의 의미를 분명히 한다.

제1부는 변혁적 중도론의 근거이자 이론적 기반인 분단체제론에 대한 이해를 돕고 분단체제의 특수성에서 비롯하는 변혁적 중도주의 논의의 진전을 보여주는 백낙청의 글 세편을 시기순으로 엮었다.

제2부에서는 변혁적 중도주의의 근간을 이루는 분단체제론을 역사성과 사회체제 면에서 고찰하고, 남북관계와 경제 부문에서 변화의 실마리를 탐색한다.

제3부는 통일운동, 생활정치, 제도정치와 시민사회운동 영역에서 드러나는 변혁적 중도주의의 구체적 양상과 과제를 살펴본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