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광순 자치행정2부

조선시대 전통적 서당에서 회초리 든 훈장은 말썽부린 제자의 종아리를 때렸다. 체벌의 상징이 된 서당교육의 회초리는 `초달`(楚撻)문화와 관련이 있다.

초달은 서당에 자식을 맡긴 아버지가 싸리나무를 한 다발 묶어 잘 가르쳐 달라는 의미로 훈장에게 전달한 데서 유래된 말이다. 교사가 되면 교편을 잡았다고 말하는 편(鞭)도 예부터 스승과 회초리를 따로 떼어 놓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존경과 예의를 표현한 `스승은 그림자도 밟지도 않는다`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이제 세상은 변해도 크게 변했다. 교권 무시 사건들도 비일비재하다. 스승이 제자에게 폭행을 당하는 일까지 벌어지는 세태를 보면 그들의 교육적 권위가 급격히 추락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까울 뿐이다. 문제는 이런 사례가 날이 갈수록 늘어나 전통적 사제 관계가 근본부터 흔들리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안동의 한 중학교에서 훈계했던 담임 여교사가 제자로부터 폭행을 당해 병원 신세를 진 사건으로 사회적으로 논란이 된 바 있다. 공개되지 못한 일들이 생각보다 많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교사와 제자라는 특수성 때문에 반항이나 폭행 등 곤혹스러운 일을 당해도 공개를 극도로 꺼리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이번 사건의 경우도 담임교사는 제자의 처벌이 아니라 오히려 선처를 호소하고 있다. 아무리 큰 잘못을 해도 사랑으로 감싸 안아야 잘못을 뉘우칠 것이라는 교육적 믿음이 더 강한 탓일까.

대구지검 안동지청은 처벌 수위를 놓고 고민에 빠졌다. 검찰은 학생이 담임교사 교무실까지 난입해 주먹으로 폭행한데다 절도행각에 따른 법무부 보호관찰소에서의 난동 등 학생으로서 도를 넘었다고 판단하고 있다. 어린 학생의 장래를 위해서라도 그동안 선처해 준 경향보다 일벌백계를 하지 않으면 모방 등 유사한 범죄가 늘어날 가능성을 우려한 것이다.

교권침해가 사회 문제로 등장할 때마다 교사들은 따가운 사회적 질타와 좌절을 겪고 있지만 그렇다고 처벌만이 능사가 아닌 우리 모두 고민해야 할 과제가 되고 있다. 교편이라는 말 자체가 사라질 위기의 현대사회에서 선조들의 초달문화의 정신적 가치가 더욱 그리운 시점이다.

안동/gskwo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