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 나무 체계적 관리가 유일 대안

1972년 소나무재선충병의 첫 피해를 본 일본은 북부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소나무림에 대해 사실상 백기를 들었다. 유럽 등지에서도 소나무재선충병에 대한 해결책을 찾지 못한 채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있다.

국내 소나무재선충병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소나무재선충병과 관련, 화학·항공방제는 물론 천적개발 등 다양한 해결책을 모색했지만 병충해 박멸에 대책은 현재까지는 전무하다. 전 세계적으로도 재선충을 없애는 해법은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발표된 바가 없다. `소나무 에이즈`라고 불리는 것도 완전퇴치 해결책이 없기 때문이다. 다만 우리나라는 지난 2005년`소나무재선충병 방제특별법`을 제정, 소나무재선충병으로 피해를 받고 있는 산림 보고와 피해방지 대책 강구를 제도화 했다. 재선충 확산 통로를 볼 때, 정부나 자치단체가 소나무재선충병 감염 소나무를 체계적으로 사후관리하는 것이 피해 확산을 막는 유일한 대안으로 분석된다.

△방제매뉴얼 정비해야

최근 3년 사이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가 늘어난 데 대해 산주 및 관련 전문가들은 전국 자치단체가 소나무재선충병 감염 소나무에 대한 관리체계와 박멸 의지 부족을 원인으로 꼽기도 한다. 올 해 전국적으로 고사된 소나무 52만 그루는 전국 자치단체의 예찰 부족과 감염 소나무 관리 체계 허점과 무관치 않다는 것.

정부가 제시하고 있는 재선충병 방제 메뉴얼도 논란이다. 산림청 메뉴얼에 따르면 재선충 피해감염목은 소각, 파쇄, 훈증 처리토록하고 있다. 감염목 완전처리를 위해서는 소각이 최선의 방법이긴 하나 깊은 산속 등에선 여건상 이 방법을 동원할 수 없다. 차선책인 파쇄방법 역시, 중장비를 깊은 산속까지 옮겨야 해 예산상 현실성이 떨어진다. 이로 인해 자치단체들은 훈증처리를 채택하지만 깊은 산속에서 나무를 자르고, 덮기가 어렵다며 호소하고 있다. 효율적인 방제 방법이 절실하다는 얘기다.

△방제 전문인력 양성 급해

전문인력 유지와 확보도 시급하다. 경북도내 시군은 대부분의 경우 산불 감시 업무와 함께 재선충병을 담당, 격무에 시달리고 있다. 너무 늦게 손을 쓰는 바람에 소나무가 완전 사라지다시피한 일본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선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을 유지하는 인력 보충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다. 특히 감염목을 제거하는 전문 인력 양성이 시급하다. 현재 각 자치단체들은 예찰, 방제 인력으로 일용직 근로자들을 투입하고 있다. 이들 기간제 근로자들은 관련규정에 따라 2년 이상 근무할 수도 없다. 재선충 피해가 크게 확산되는 추세임을 감안, 더 늦기전에 전담부서와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

△예산, 적기 집행 우선 돼야

재선충병 방제 작업은 통상 11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가 적기다. 매개충 이동이 어렵고, 자른 감염목을 옮기는 과정에서 매개충 유충이 탈출해도 기온이 낮아 자동으로 죽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방제 작업 적기에 예산을 집중시켜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 자치단체가 이를 지키기 못하고 있다. 소나무재선충병은 국가가 관리하는 병충해로, 자치단체가 운영하는 재선충병 관련 예산도 70%가 국비다. 국비가 지자체에까지 하달되는 시간이 너무 길다. 그래서 병이 발생해도 자치단체들이 손을 놓고 정부만 바라보는 경우도 생긴다. 결국 올 해처럼 죽은 소나무가 속출하는 한 원인이다.

△광역 전담기구 필요

재선충이 확산되고 있는 지역은 경북 동해안~울산~부산~통영~광양~순천으로 이어지는 벨트권을 형성하고 있다. 특정 자치단체가 해결할 사안이 아니다. 그래서 재선충병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선 광역권을 묶는 소나무재선충병 대책 전담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전담 기구 설치로 장기적인 계획 수립과 철저한 예찰활동 등을 통해 사전 예방을 해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김기태기자 kkt@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