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것도 꽃과 풀 속의 영광된 시간을
되돌려 놓을 순 없지만
우리는 슬퍼하지 않으며,
오히려 그 속에 담겨있고,
언제나 있어 왔던 원초의 조화 속에 담겨있고,
죽어서도 지킬 진실된 마음속에 담겨있는,
주의 권능 속에서 발견하노라.
우리를 살아 있게 하는 심장으로 인해,
그 심장의 따뜻함과 기쁨과 두려움으로
바람에 흩날리는 가장 연약한
꽃 한 송이조차,
너무 깊어서 눈물로도 표출할 수 없는
사색을 믿게 하누나.
―윌리엄 워즈워스(William Wordsworth), ‘어린시절 회상을 통한 영원불멸의 노래(Ode: Intimations of Immortality from Recollections of Early Childhood’, 182~190행 / 204~208행)
시가 무엇을 볼 수 있다는 믿음, 워즈워스의 시는 그렇게 재현된다. 스크린 속 강물처럼, 혹은 스크린 밖 불멸의 노래처럼. 우리가 사랑하는 영화, 로버트 레드포드 감독(Robert Redford)의 ‘흐르는 강물처럼’(A River Runs Through It)을 기억하는 이라면 알아차릴 것이다. 영상이 펼쳐내는 슬프고도 은유적인 정경에 잠기고 감정에 몰두하다가도 어느새 저만큼 훌쩍 흘러가고 있는 강물의 순간들을 말이다.
이제 우리가 영화 속에서 워즈워스(William Wordsworth·1770~1850)가 노래한 어린 시절 회상을 불러내면 어떤가. 이때 다시 마주하는 영상 혹은 시는 사뭇 다르게 다가올 것이다. 영화의 공간적 주요 배경은 노먼의 전기를 다룬 고향인 몬테나주의 울창한 숲과 빅 블랙풋 강(Big Blackfoot River)이다. 매 순간 사로잡혔던 영상을 되짚으며 시와 교접하는 지점을 반추하며 마음에 번지는 의미를 사색해 보는 것이다.
멈추지 않고 흐르는 것은 아름답다. 아버지와 두 아들이 강에서 제물낚시(Fly fishing)를 하는 장면은 사실상 아들과 동생을 잃은 가족의 고통스러운 밑그림이다. 그러니 영화에서 목회자인 아버지와 아들이 낭송한 이 시구는 불멸의 영혼을 믿겠다는 의지이며 애도이다. 한 줄기 상실의 강이 아프게 흐르는 가운데 화자는 결국 영화에서 가족처럼 결국‘남겨진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워즈워스의 수많은 시편이 마음의 궤적과 파장을 깊게 담아낸다. 문학가 엄용희는 “자연에 관한 사색과 찬미, 프랑스 혁명 초기를 배경으로 한 인본주의적 열정, 삶을 채워가는 고통의 면면들에 대한 숙고, 지나간 일의 새로운 이해와 감정의 고양 등 워즈워스의 시를 읽을 통로는 다양하다며 워즈워스는 시를 배우기 좋은 시인”이라고 했다.
워즈워스의 시에 자주 드러나는 죽음의 극복이라는 지향성은 영혼의 불멸을 이루려는 방편으로서의 언어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시인의 ‘불멸성’은 ‘죽음’을 읽는 다른 방식이 된다. 끝내 죽음으로 내던져진 아들 폴의 알코올 중독과 도박장 사건은 추악한 인간사의 표면일지 모른다. 그러나 시종일관 아름다운 숲과 흐르는 강의 풍광의 전망으로 인도하며 인간사의 내밀한 고통을 어린 날의 회상 장면으로 몰입시키는 것에 시는 구조적으로 배치되었다.
잔잔히 흐르는 강물에 드리워진 기다란 곡선의 낚싯줄과 물결을 투과하는 빛의 환희가 한없이 고요한 워즈워스의 시를 내장함으로써 그 기품은 고조된다. 어린 시절의 회상은 타자에 관하여 신실하고도 식지 않은 심장을 가진 아들 폴의 아름다운 내면을 응축하고 있기에.
영화 속 아버지의 마지막 대사는 간접화법으로 흐른다. 마치 강물처럼, 시처럼 멈추지 않고.
“아름다운 아이였잖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