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빠듯한 생활비에 자식 부담될까… 할 수 있을 때까지 해야죠”

단정민기자
등록일 2024-08-28 20:01 게재일 2024-08-29 8면
스크랩버튼
일자리 찾아 나선 노인들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고령 근로자의 모습.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고령 근로자의 모습.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퇴직 후에도 경제적 이유로 노동 시장에 남아야 하는 고령층의 현실은 고단하다. 포항시 남구 효자동에 살고 있는 A씨(70)는 50대 초반 대기업에서 퇴직한 후 몇 년간 작은 가게를 운영했지만, 경기 악화와 매출 부진으로 결국 문을 닫을 수밖에 없었다. 그는 경제적 부담을 덜기 위해 50대 후반부터 다시 일자리를 구해 일을 해왔고, 현재는 대형 마트에서 출납원으로 일하고 있다. A씨는 “몸이 예전 같지 않아 힘들지만, 생활비 마련과 자녀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기 위해 어쩔 수 없다. 건강이 허락하는 한 쉴 생각이 전혀 없다”고 말했다.

2022년 기준, 한국인의 평균 퇴직 연령은 49.3세. 실질적으로 노동 시장에서 퇴장하는 나이는 72.3세로 조사됐다. 고령층이 퇴직한 후에도 약 23년간 다른 일자리를 전전하며 생계를 이어가고 있다는 의미다. 66세 이상의 노인 인구의 소득 빈곤율은 40.4%로, OECD 평균 14.2%의 세 배에 달해 우리나라 고령층의 경제적 불안정성이 심각한 수준임을 보여준다.

 

한국 평균 퇴직연령 49.3세지만 현실은 72.3세까지 고된 노동

66세이상 노인 중 40.4% 소득 빈곤… OECD 평균의 3배 달해

연금으로 부족 고령층 경제활동률 60.6%, 사회적 안전망 필요

포항시 북구의 한 아파트 경비원으로 일하고 있는 B씨(66)는 “국민연금을 받긴 하지만, 그 돈으로 생활하기엔 턱없이 부족해 경비원으로 일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경비원 일은 다행히 나이 제한이 덜해서 내 나이에도 할 수 있는 일 중 하나다. 월급과 국민연금을 합쳐야 겨우 생활이 가능하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지난달 3월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3년 12월 기준 국민연금 공표통계’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 중 국민연금을 받는 사람은 498만명으로, 전체 973만명 중 무려 51.2%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수급률이 노인 인구의 절반을 넘어선 것은 1988년 제도 도입 이후 최초다.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82만원 정도다. 국민연금만으로 안정된 노후를 기대하기 어려운 고령층이 노동 시장에 재진입하는 것은 불가피한 선택으로 여겨진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5월 경제활동인구 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고령층 55~79세 인구는 1598만3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50만2000명 증가했다. 고령층 경제활동참가율은 60.6%로 전년 동월 대비 0.4%p 늘었다.

빌딩 숲 사이 놓인 벤치에 지친 고령 근로자가 앉아 있다.  /chat gpt를 활용한 이미지 제공
빌딩 숲 사이 놓인 벤치에 지친 고령 근로자가 앉아 있다. /chat gpt를 활용한 이미지 제공

고령층 취업자는 943만6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1만6000명 증가, 고용률은 59.0%로 0.1%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래 근로 희망자는 1109만3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0.9%p 상승, 희망 근로 연령은 평균 73.3세로 0.3세 증가했다.

경북도의 경제활동 인구 현황에 따르면 55~64세 예비노인은 69만2000명, 65세 이상 노인은 59만 9000명으로 집계됐다. 대구시의 경제활동 인구는 55~64세 예비 노인이 53만1000명, 65세 이상 노인이 22만800명으로 드러났다. 포항시의 노동 연령 별 취업자는 50~64세 9만1200명, 65세 이상 취업자는 3만5400명으로 조사됐다.

김진홍 포항시지역학연구회 연구위원은 “한국의 고령층이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노동 시장에 남아야 하는 현실은 사회적 안전망이 충분히 마련되지 않았음을 반증한다. 이러한 상황은 개인의 문제를 넘어, 사회적 차원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지방정부는 은퇴 고령자가 선택할 수 있는 직업군의 선택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 필요한 재교육, 재훈련의 역할을 지역의 대학과 협력 연대해 예비 고령자들의 전반적인 지식과 직업 능력을 확대할 수 있는 지역사회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황영훈 포항 시니어클럽 관장
황영훈 포항 시니어클럽 관장

인터뷰 / 황영훈 포항 시니어클럽 관장

“고령자 경험·능력 활용 가능한 양질의 일자리 마련돼야”

저소득층·고연령 어르신 위한

단순 노무직·공공근로에 집중

경제적 자립·자아실현 충족 못해

보상·근무형태 등 맞춤지원 기대

은퇴후에 그동안 하지 못했던 다양한 취미생활에 몰입하면서 평온한 노년을 보내는 것은 이제 꿈이 되어 버렸다.

한국의 고령층들은 경제적 이유로 노동 시장에 계속 남아야 하는 상황이다. 평균 퇴직 연령은 49.3세지만, 실제 노동시장에서의 퇴직 연령은 72.3세다. 심지어 66세 이상의 노인 중 40.4%가 소득 빈곤에 처해 있으며, 국민연금만으로는 안정된 노후를 기대하기 어렵다.

황영훈 포항 시니어클럽 관장은 고령근로자가 증가하는 원인에 대해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주된 원인이라고 밝혔다.

1955~1963년 사이에 태어난 이 세대는 약 713만 명에 이르며, 2020년부터 본격적으로 은퇴를 시작했다는 것.

“은퇴는 했지만 경제적 필요, 건강 개선, 사회적 참여 욕구로 인해 이들은 꾸준히 일자리를 찾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령 근로자가 증가할 수 밖에 없는 것이죠.”

황 관장은 고령 근로자의 사회적 역할이 커지고 있지만, 이들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한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강조했다.

“현재 대부분의 노인 일자리는 저소득층과 고연령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공익형 일자리에 편중되어 있어, 이들의 경험과 능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런 일자리는 낮은 임금과 제한된 근로 시간으로 경제적 자립에 큰 도움이 되지 않아, 고령 근로자들의 자아실현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죠.”

노인일자리의 대부분이 시청이나 동사무소에서 주선해주는 단순 노무직이나 공공근로에 한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그나마 지속적이지 않은 것도 문제라는 것이다. 그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무엇보다 노인 일자리 사업의 다양화와 전문화가 필요합니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역량을 활용할 수 있는 기술 교육, 창업 지원, 사회적 기업 연계 등의 프로그램도 필요합니다. 또한 사회참여 기회를 확대해야 합니다. 고령 근로자들이 교육, 문화,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원봉사나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황 관장은 또 노인들이 꾸준히 일을 하기 위해서는 성과에 따른 보상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맞춤형 지원과 인센티브 제공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유연근무제나 시간제 근무 등 다양한 근무 형태를 제공하고 보상(급여)도 성과에 맞게 현실화 시켜야 합니다. 그래야 노인들도 보람과 성취감을 가지고 일을 하죠.”

황 관장은 노인일자리 문제는 단순히 노인에게 일자리를 시혜적으로 주는 것이 아니라 노인들의 경험과 경력을 사회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라며 “지역 내 기관 및 기업과 협력해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하고 성과를 토대로 성공모델을 만들어 나가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단정민기자 sweetjmini@kbmaeil.com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