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해수온 상승 속도 빨라··· 국내 원전 8기 10년 내 가동 중단 우려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 온도 상승 속도가 빨라지면서 국내 원자력발전소의 수명을 앞당기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특히 경주에 있는 신월성 1·2호기는 해수 온도 제한치 도달 시점이 설계수명 만료 시점보다 최대 24년이나 앞당겨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드러나 대책이 요구된다.
2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조인철 의원이 최근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경주 신월성 1·2호기의 설계해수온도 예상 도달 시점은 2030년으로 나타났다.
‘설계해수온도’란 원전 설비가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는 최고 해수온도로, 이 기준치를 넘으면 원전은 가동을 멈추고 냉각을 위해 정지해야 한다.
신월성 1·2호기의 설계수명 만료가 각각 2051년, 2054년이지만, 해수온도의 급격한 상승으로 인해 수명이 21년, 24년이나 앞당겨질 수 있는 셈이다. 신월성 1·2호기의 설계해수온도는 32.9도이며, 최근 5년간 최고 해수온도가 각각 31.2도, 30.6도를 기록하고 있다.
전남 영광 한빛원전도 비슷한 상황이다. 한빛 3·4호기는 2031년, 1·2·5·6호기는 2034년 설계해수온도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수원은 해수온도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열교환기 여유도 재평가 등으로 기준치를 상향 조정하는 대책을 내놓고 있다.
조 의원은 “기후 위기로 인한 해수온 상승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라며 “신월성과 한빛을 포함한 전국 원전의 설비 개선을 통해 설계수명이 임박한 원전이 안전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종합적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