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문경시, 카카오와 손잡고 ‘단골버스’ 달린다

고성환 기자
등록일 2025-10-26 12:16 게재일 2025-10-27 11면
스크랩버튼
11월 2일까지 4개 상권 무료 순환 운행… 시장·상점가 활기 기대
Second alt text
문경의 전통시장과 상점가를 연결하는 노란색 ‘카카오 단골버스’  앞에서 신현국 문경시장과 이정걸 문경시의회의장, 박영서 도의원, 문경시와 카카오 관계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문경시 제공

문경의 전통시장과 상점가를 연결하는 노란색  ‘단골버스’가 가을 도심을 누비기 시작했다. 

문경시는 23일 카카오와 함께 ‘카카오 단골버스 개통식’을 열고, 24일부터 11월 2일까지 지역 대표 상권을 순환하는 ‘찾아가는 지역상권 활성화 버스’ 운행을 시작했다. 

‘카카오 단골버스’는 문경시청을 출발해 ▷점촌전통시장 ▷행복상점가 ▷점촌역전상점가 ▷문경중앙시장 등 4개 상권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누구나 무료로 탑승할 수 있다. 

평일인 24일·30일·31일 각각 2회(12시, 15시), 주말인 25~26일과 11월 1~2일 각각 4회(10시, 12시, 14시, 16시) 운행된다. 

Second alt text
 ‘카카오 단골버스’를 타고, 문경중앙시장에 도착한 신현국 문경시장, 이정걸 문경시의회의장, 남기호, 박춘남, 신성호 시의원, 문경시와 카카오 관계자들 모습. /문경시 제공

행사 기간 동안 탑승객에게는 카카오 굿즈 패키지(탑승권, 에코백, 핫팩 등)가 제공되며, 전통시장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온누리상품권 1만 원도 증정돼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이번 사업은 카카오의 ‘프로젝트 단골’의 일환으로, 지역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과 소비자 접근성 개선을 지원하기 위한 전국 연계 캠페인이다. 

문경시는 전국 10개 지자체 중 하나로 선정돼 지방 중소도시 상권 활성화 우수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박혜선 카카오 동반성장 리더는 “소상공인이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도록 ‘프로젝트 단골’을 강화하고 있다”며 “문경 단골버스는 시민이 상권에 직접 다가가게 만드는 새로운 방식의 지역경제 활성화 모델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점촌전통시장에서 30년째 과일가게를 운영하는 이정숙(62) 씨는 “요즘 젊은 손님들이 시장까지 오는 게 쉽지 않은데, 이렇게 버스로 데려오니 손님도 늘고 분위기도 살았다”며 “카카오와 시에서 이런 아이디어를 계속 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문경시는 이번 단골버스 운행을 통해 상권 간 이동 편의를 높이는 한편, 시민들에게 지역 소비문화를 확산시키는 ‘생활권 기반의 상권 순환 모델’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또한 카카오와 협력해 온라인 단골맺기·포인트 적립·디지털 쿠폰 등 지역 상권과 연계한 스마트 마케팅 시스템을 순차 도입할 방침이다. 

Second alt text
문경의 전통시장과 상점가를 연결하는 노란색 ‘카카오 단골버스’를 탑승한 신현국 문경시장과 박혜선 카카오 동반성장 리더와 문경시·카카오 관계자들 모습. /문경시 제공

신현국 문경시장은 “문경이 카카오 단골사업에 선정된 것은 지역 상인들의 높은 참여도와 디지털 전환 노력이 인정받은 결과”라며, “단골버스가 시민들의 발길을 시장으로 이끌고, 단골고객층 형성을 통해 지역 상권이 다시 살아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경시는 최근 점촌점빵길 ‘닻별 테마길’, 중앙시장 활성화 프로젝트 등 상권 간 연결형 도시재생 모델을 잇달아 추진하며 지역경제 구조를 바꾸고 있다. 

‘단골버스’는 그 연장선상에서 소비자를 직접 상권으로 이동시키는 모빌리티 기반 지역경제 플랫폼 실험으로, 향후 경북권 타 도시로의 확산 가능성도 주목받고 있다. 

문경시 상권 활성화 담당자는 “단골버스는 단순한 이동 수단이 아니라, 지역 상권을 잇는 ‘움직이는 다리’이며. 버스가 다니는 길마다 사람의 온기가 돌아오고 있다”고 했다.

/고성환기자 hihero2025@kbmaeil.com

북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