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농업소득률·생산성 동반 추락···공동영농이 해법 될까

피현진 기자
등록일 2025-10-14 13:06 게재일 2025-10-15 2면
스크랩버튼
농식품부, 구조적 위기에 직면한 농업 극복을 위해 공동영농 모델 확산 추진

한국 농업이 구조적 위기에 직면하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공동영농 모델 확산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14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농가의 소득구조와 생산성 지표가 전반적으로 악화되며 전통적인 소규모 가족농 중심의 영농 방식이 한계에 다다랐다.

가장 뚜렷한 변화는 농업소득률의 지속적인 하락이다. 

2015년 32.4%였던 농업소득률은 지난해 26.0%로 7.4%포인트 떨어졌다. 같은 기간 농업총수입은 2025년 3365만4000원에서 지난해 3684만9000원으로 증가했지만, 농업경영비 역시 2239만8000원에서 2727만3000원으로 상승하면서 실질 농업소득은 오히려 감소했다.

더 큰 문제는 농업 투자의 효율성 저하다. 

농업의 3대 생산요소인 노동, 토지, 자본의 생산성 지표를 보면 자본생산성의 하락이 가장 두드러진다. 농기계나 시설 등 자본 100만 원을 투입했을 때 창출되는 부가가치를 의미하는 자본생산성은 2014년 30만2220원에서 2022년 22만4230원으로 약 25% 급락했다.

노동생산성 역시 정체 상태다. 

2014년 1시간당 1만7330원이던 노동생산성은 2022년 1만5420원으로 오히려 하락했다. 고령화와 노동력 감소 속에서 농업의 전체 부가가치가 정체되거나 감소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토지생산성은 외부 충격에 민감한 모습을 보였다. 2018년 10a당 175만6000원으로 정점을 찍은 후 2022년에는 145만1000원으로 급락했다가 지난해 다시 176만6000원으로 반등해 토지 생산성 역시 안정적이지 않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 같은 통계 수치는 인력 부족과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고 농기계 공동 이용과 기술 공유를 통해 생산비를 절감하며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는 공동영농 모델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공동영농은 흩어져 있는 농지를 집적하고 노동력을 효율적으로 배분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신규 농업인에게는 기술 전수와 초기 투자 부담 완화의 기회를 제공하며, 공동 출하 및 판매를 통해 악화된 교역조건을 극복하고 농가소득을 증대시키는 핵심적인 대안으로 평가된다.

경북도 관계자는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제 개별 농가 지원을 넘어선 구조적 전환이 필요하다”며 “협력과 집약, 그리고 혁신이 결합된 새로운 모델로 공동영농이 그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