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 화재로 손상된 주요 시스템 96개를 대구 민관협력형(PPP) 클라우드센터로 옮겨 새로 설치하기로 했다.
정부는 28일 전산실 화재로 피해를 입은 시스템을 대구 민관협력형 클라우드센터로 이전해 재설치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공공망과 민간 기술을 잇는 절차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국정자원의 G-클라우드 존 데이터는 최대 4중으로 백업돼 있어 서버가 소실되더라도 외부 저장소를 통해 복구할 수 있다. 대구센터는 이미 백업센터 역할을 겸하고 있어 데이터 이전은 무리가 없다는 판단이다.
대구센터에는 이미 민관협력형(PPP) 클라우드 존이 운영 중이다. 이곳에 입주한 삼성SDS와 KT클라우드는 국가정보원의 ‘상’ 등급 보안검증을 통과했고, NHN클라우드도 검증 절차를 밟고 있다. 이들 사업자는 앞으로 대구센터에서 보안 수준이 높은 공공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정부가 손상된 시스템을 PPP로 옮겨 재구축하려는 이유는, 기존 환경에서 무리하게 복원하는 것보다 보안이 검증된 ‘클린 빌드’ 기반 위에 새로 설치하는 것이 더 안전하고 빠르다고 보기 때문이다.
업계는 우선 업무 중요도에 따라 시스템을 다시 분류하고, 가장 최신 데이터 소스를 확보해 무결성 점검과 악성 코드 검사, 로그 복원 가능성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 동시에 대구 PPP에서 공공망 연동과 보안 통제를 설정하는 작업도 진행된다.
PPP는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행정망·물리보안 위에 민간사가 자원풀을 얹는 구조다. 따라서 망 경계, 암호키 관리, 접근 통제 등에서 공공 표준과 민간 운영정책을 맞추는 것이 핵심 과제로 꼽힌다. 다만 PPP는 보안과 망분리에는 강점이 있지만, 멀티리전이나 실시간 이중화 같은 최신 클라우드 기술은 아직 추가 설계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손상된 환경은 버리고 PPP의 보안 기반 위에 새로 설치하는 방식이 가장 빠르고 안전하다”며 “데이터 검증을 마친 뒤 중요한 서비스부터 단계적으로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지난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는 22시간 만에 완전히 진화됐다. 정부 조사에 따르면 불은 무정전 전원장치(UPS)에 쓰인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시작됐다. 국정자원은 27일 오후 9시 36분쯤 전소된 배터리팩 384개 중 250여 개를 서버에서 분리해 외부 반출을 마치며 화재가 완전히 진압됐다고 발표했다.
/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