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일극체제 극복과 북극항로 시대의 기회를 선점하기 위해 포항 영일만항을 물류·에너지, 철강 등 벌크화물 거점항만으로 육성하는 방안이 본격 추진된다. 해양수산부는 북극항로 진출을 위한 전·후방 산업을 연계한 사전준비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해양수산부는 16일 국무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새 정부 해양수산분야 국정과제가 확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한 국정과제는 지난 13일 국정기획위원회가 정부에 제안한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을 바탕으로 정책과 실현 가능성 등을 종합 검토한 결과다.
정부는 북극항로 개척을 위해 국적선사 협의를 통해 2026년 북극항로 시범운항을 추진하고, 2027년부터 주요 거점 물류인프라 확보 등 상업항로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거점항만은 화물별로 특화된 인프라로 재편된다. 포항 영일만항은 철강, 물류·에너지 등 벌크화물 처리 중심지로 육성된다. 이 외에 부산항은 컨테이너 중심 동북아 물류거점, 여수·광양항은 LNG 허브, 울산항은 에너지 허브로 조성한다는 내용이 국정과제에 담겼다.
배후산단은 지역별 배후부지를 특성화 산업단지로 집적화한다는 방침이다. 포항은 조선과 연계한 철강산업, 부산은 북극 원양산업 수산업 거점 기지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북극항로 진출을 위한 강력한 리더십 아래 민·관 협업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 같은 차원에서 대통령 직속 ‘북극항로위원회’ 설립과 행안부·기재부·외교부 등 7개 부처가 참여하는 ‘북극항로 추진본부’를 연내 설치할 예정이다. 특히 북극항로 진출 의지 표명 차원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위원장을 역임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정부는 “미·중·러 등 주요 국가들은 북극항로 선점을 위해 발빠르게 대응 중이다. ‘북극항로 관문’이라는 지정학적 강점과 동북아시아 물류허브로서 종합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며 “수도권 일극체제 극복을 위해 우리 경제에 신성장 엔진 발굴이 시급한 만큼, 새롭게 열리는 북극항로 시대의 기회를 선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