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15일부터 환경단체 두 곳(낙동강네트워크, 환경운동연합)과 함께 낙동강 녹조 심화지역을 대상으로 조류독소 공동조사에 착수한다.
이번 조사는 그동안 환경단체 조사에서 공기 중 조류독소가 검출돼 지역 주민들의 불안이 확산된 데 따른 조치로, 객관적이고 투명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추진되는 것이다.
환경부와 환경단체는 그동안 공동조사 추진을 위한 협의를 장기간 이어왔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한 바 있다. 그러나 새 정부 출범 이후 협의를 재개해 이번에 공동조사가 성사됐다.
공동조사는 환경부와 환경단체의 협의에 따라 국립환경과학원과 경북대학교가 조사기관으로 참여해 동일한 지점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된다.
조사 대상은 낙동강 본류 구간 5개 지점으로 △화원유원지(대구 달성군) △달성보선착장(대구 달성군) △본포수변공원(경남 창원시) △남지유채밭(경남 창녕군) △대동선착장(경남 김해시) 등이 선정됐다. 각 지점별로 4회씩 조사가 이루어지며, 원수와 공기 중 조류독소를 모두 채취·분석할 예정이다.
시료 채취는 국립환경과학원과 경북대학교가 이달 안으로 완료할 계획이다. 이어 올해 안에 시료 분석을 마무리하고, 그 결과는 환경부와 환경단체가 공동으로 공개한다.
또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2026년 원수 및 공기 중 조류독소에 대한 공동조사 방향을 협의·결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환경부는 관계기관, 시민사회,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녹조 문제 해결 방안을 지속적으로 논의해 나가기로 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번 공동조사를 계기로 환경부와 시민사회 간의 관계가 회복되고, 녹조 관리 정책에 대한 국민 신뢰가 높아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