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간 32억 원 투입해 해상풍력 기술실증 테스트베드 입지 및 기능 설계연구
경북도가 해상풍력 산업의 전환점이 될 국책사업에 잇달아 선정되며 친환경 에너지산업의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
경북도는 17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주관한 ‘초대형 해상풍력시스템 기술실증 테스트베드 설계 연구’ 공모 사업에 최종 선정돼 국비 30억 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총사업비는 32억 원이다.
2027년 3월까지 2년간 진행될 이번 사업에는 경북도와 포항TP,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전기연구원 등 7개 기관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고정식 및 부유식 구조를 포함한 한국형 초대형 해상풍력시스템의 테스트베드를 설계하고, 관련 기술을 실증한다.
기술 실증 시나리오 작성과 중장기 운영전략 개발까지 포괄하는 이 연구는 해상풍력 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경북도는 지난 4월 ‘풍력 현장기술인력양성 플랫폼 구축’ 공모사업에도 선정돼 총 64억 원의 예산을 확보하며 풍력산업 전문 인력 양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 플랫폼을 통해 운영관리 및 유지보수(O&M)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실질적인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경북도는 또 지난 3월 국회를 통과한 ‘해상풍력 보급촉진 및 산업 육성에 관한 특별법’을 바탕으로 해상풍력 실증에 적합한 부지를 발굴하고 기능 설계를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국내 해상풍력 기술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하고, 지역 경제를 이끄는 새로운 산업 모델을 구축할 방침이다.
류시갑 경북도에너지정책과장은 “연이은 국책사업 선정을 통해 경북도의 해상풍력 산업 육성 의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국내 풍력산업이 세계적 수준의 기술 향상을 이루는데 경북이 전초기지 역할을 할 것”이라며 “동해안을 중심으로 육·해상 풍력산업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경북도의 이같은 행보는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전환이라는 국가적 과제 속에서 ‘바람의 산업혁명’을 현실로 바꾸는 첫 걸음이자, 지역 중심 미래산업 육성의 청사진을 제시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