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KENP, 日 일본제철에 ‘고품질 스테인리스 스크랩’ 공급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07-10 06:18 게재일 2025-07-11 6면
스크랩버튼
脫탄소 시대 속 한일 철강 무역구조 변화 신호탄
Second alt text
KENP 포항제2공장 전경. /KENP 홈페이지에서 발췌

국내 스테인리스 스크랩 전문 가공업체 ㈜케이이앤피(KENP, 대표 강병기)가 일본 최대 철강사인 일본제철에 고품질 ‘스테인리스 슈레디드 스크랩’을 공급하기 시작했다. 그간 일본이 공급하고 한국이 수입하던 기존 무역 구조와는 정반대의 흐름으로, 탈탄소 시대를 맞은 글로벌 철강 시장의 지각변동을 예고하는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KENP는 포항에 본사와 3개 공장을 운영하며, 사업 구조를 ‘스테인리스 슈레디드 스크랩’ 중심으로 전면 재편했다. 단순 스크랩 유통을 넘어 고도의 가공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그린 스테인리스 솔루션 센터’로 기업 정체성을 새롭게 정의했다.
KENP가 전사적으로 프리미엄 스크랩 시장에 집중 투자한 결과, 품질 기준이 엄격한 일본제철과의 공급 계약 체결에 성공했다.

이번 계약이 이뤄진 배경에는 단순한 물량 공급이 아닌, KENP가 보유한 구리 등 불순물이 철저히 제어된 고품질 스크랩에 대한 일본제철의 전략적 수요가 있었다. 
일본제철은 ‘2050 탄소중립 비전’ 달성을 위해 그동안 수조 엔을 투입해 전기로 제강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고품질 원료 확보가 핵심 과제로 떠올랐다. 전기로 방식에서는 원료 스크랩의 품질이 최종 제품의 품질을 결정짓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계약을 두고 “미래 철강 산업의 경쟁력은 품질과 기술력, 그리고 탄소중립이라는 공동 목표를 향한 전략적 파트너십이 좌우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지역경제의 한 전문가는 “지난해 매출액 1047억 2000만 원을 기록한 KENP는 단순 매출액 기준으로 보면 동종업계 38위에 불과하지만, 그런 겉모습과 달리 이번 공급계약은 녹색 전환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빠르게 진전되는 철강 시장의 국제 무대에서 중소기업이라도 스스로 기술 경쟁력을 갖춘다면 언제든지 새로운 기회와 시장을 창출할 수 있음을 실질적으로 보여준 상징적 사례로 주목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