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경북동해안 실물경제, 제조업·관광·건설 동시 부진
경북 동해안 지역의 실물경제가 5월 들어 전반적인 둔화 흐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코 조강 생산이 줄고 수출입도 두 자릿수 감소율을 기록하는 등 제조업과 외부 수요 모두 위축된 양상이다. 관광과 소비 역시 전반적인 감소세를 이어갔으며, 부동산 지표도 내림세가 뚜렷했다.
한국은행 포항본부가 9일 발표한 ‘2025년 5월 중 경북동해안 실물경제 동향’에 따르면, 생산, 수요, 부동산 등 주요 지표 대부분에서 부진한 흐름이 나타났다.
제조업 부문에서는 포스코 포항제철소의 조강 생산량이 87만 톤으로 전년동월 대비 1.5% 감소했다. 같은 기간 광양제철소 생산은 증가했지만, 포항 지역은 철강산업 전반의 부진을 피하지 못했다.
포항 철강산단의 생산액도 1조2000억 원으로 전년동월 대비 7.2% 감소했으며, 특히 1차 금속(-10.8%)의 하락 폭이 컸다. 경주 지역의 자동차 부품 생산지수 역시 3.6% 줄어들며 제조업 전반이 위축된 모습을 보였다.
서비스업에서도 경주의 대표 관광지인 보문단지 숙박객 수가 14만5000명으로 1년 전보다 23.5% 감소했다. 내국인 관광객 감소 폭이 특히 컸으며, 숙박유형 중 콘도·리조트는 절반 가까이 줄었다. 다만 동해안 전체 방문객은 40만2000명으로 14.3% 증가하며 지역별 혼조세를 보였다.
울릉도 관광객 수는 6.8% 감소했고, 포항운하 방문객과 크루즈 탑승객도 각각 2.5% 줄었다.
5월 중 경북 동해안 수산물 생산량은 0.9만 톤으로 전년동월 대비 10.7% 감소했다. 어류(-21.2%), 갑각류(-18.7%), 연체동물(-2.4%)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반면, 수산물 단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생산액은 15.1% 증가했다.
5월 중 경북동해안지역 수출은 7억6000만 달러로 15.2% 감소, 수입은 5억9000만 달러로 24.5% 급감했다. 수출은 화학공업제품(-23.6%), 철강금속제품(-16.0%), 기계류(-9.8%)가 일제히 감소했고, 수입은 광산물(-35.2%), 화학제품(-32.4%) 등에서 부진했다.
지역별로는 포항(-17.4%)과 경주(-3.5%) 모두 수출이 줄었고, 경주의 수입은 75.3% 급감했다.
주요 유통업체의 판매액은 전년동월 대비 2.2% 줄었으며, 의복·신발(-8.6%)과 가전제품(-18.5%)의 하락 폭이 컸다. 반면 식료품 판매는 6.0% 늘며 기초소비재 중심의 구매 패턴이 유지됐다.
포항·경주지역의 승용차 신규 등록은 378대로 전년동월 대비 24.6% 감소하며 고가 소비재에 대한 수요 위축을 반영했다.
설비투자를 가늠할 수 있는 자본재 수입은 2.3% 증가했지만, 건설경기는 위축됐다. 건축착공면적은 전년동월 대비 47.7%, 건축허가면적은 71.9% 줄어들었다.
주택시장도 약세를 면치 못했다. 아파트 매매가격은 포항(-0.5%)과 경주(-0.3%) 모두 전월 대비 하락했으며, 전셋값도 동반 하락했다. 포항·경주지역의 주택매매 건수는 17.9% 감소, 거래 심리도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