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붙는 힘 조절로 리튬황배터리 성능·수명 ‘UP’

단정민 기자
등록일 2025-07-09 18:44 게재일 2025-07-10 12면
스크랩버튼
포스텍 김원배 교수 연구팀
기존보다 에너지 저장 5배 ↑
고용량·저비용 배터리 혁신
Second alt text
김원배 교수. /포항공과대학교 제공

전기차 배터리가 더 오래가고 강력해질 수 있는 새로운 해법이 제시됐다.

포항공과대학교는 김원배 화학공학과·배터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전극 촉매의 ‘붙는 힘’을 원자 수준에서 정밀하게 조절해 리튬황배터리의 성능과 수명을 동시에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리튬황배터리는 차세대 배터리의 유력한 후보로 꼽힌다. 값비싼 희귀 금속 대신 풍부한 황을 사용해 제조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고, 에너지 저장 용량도 기존 리튬이온배터리의 5배 이상이다.

하지만, 배터리 충·방전 과정에서 황과 리튬이 반응해 생기는 ‘리튬 폴리설파이드’가 전해질에 녹아 음극으로 이동하면서 리튬 금속을 손상시켜 배터리의 수명을 빠르게 줄인다는 약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붙었다 떨어지는 힘’을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해 촉매 표면에 지르코늄 이온(Zr4+)을 원자 단위로 고르게 분산시키는 방식을 고안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촉매 표면의 전자 구조를 조절해 소량의 지르코늄 첨가만으로도 접착력이 적절히 낮아져 배터리 충·방전 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이 만든 전극은 일반적인 충전 속도로 1000회 이상 충·방전해도 초기 용량의 93% 이상을 유지했고, 고속 충전에서도 뛰어난 내구성을 보였다. 또 실제와 유사한 고밀도 황(4.6~5.4 mg/cm²)과 적은 전해질(8μL/mg 황) 조건에서도 높은 에너지 용량을 오래 유지했다.

김 교수는 “리튬황배터리 상용화를 가로막던 난제를 전자적 접착력 조절로 풀어낸 연구”라며 “저비용·고용량 배터리 생산에 한 걸음 더 다가서 탄소중립 시대의 에너지 저장 솔루션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소재·화학·나노 분야 국제 학술지인 ‘스몰(Small)’에 게재됐다.

/단정민기자 sweetjmini@kbmaeil.com

교육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